2025.02.06 (목)

  • 흐림동두천 -12.4℃
  • 맑음강릉 -7.3℃
  • 맑음서울 -10.9℃
  • 맑음대전 -8.8℃
  • 맑음대구 -5.7℃
  • 맑음울산 -5.8℃
  • 구름조금광주 -5.8℃
  • 맑음부산 -4.7℃
  • 흐림고창 -6.8℃
  • 제주 0.8℃
  • 맑음강화 -13.3℃
  • 맑음보은 -10.0℃
  • 흐림금산 -8.6℃
  • 흐림강진군 -5.6℃
  • 맑음경주시 -6.3℃
  • 맑음거제 -3.4℃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2022년산 조수입보다 27.2% 증가 … 3년 연속 1조원대 유지

 

2023년산 제주 감귤 조수입이 1조3248억원을 달성하며 3년 연속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3년 연속 조수입 1조를 돌파했다.

 

제주도는 2023년산 감귤 조수입이 전년 조수입 1조418억원보다 2830억원(27.2%) 늘어난 1조3248억원을 달성했다고 31일 밝혔다.

 

품목별 조수입은 노지온주가 전년 4896억원보다 29.4% 증가한 6334억원, 만감류가 전년 3774억원보다 25.7% 증가한 4743억원이다.

 

또 하우스온주 조수입은 전년 995억원보다 13.0% 증가한 1124억원, 월동온주는 전년 752억원보다 39.2% 증가한 1047억원을 기록했다. 전 품목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2023년산 감귤류 전체 유통 처리량은 55만3429톤으로 전년 58만1858톤보다 4.9%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품목별 유통 처리량은 노지온주가 39만8246톤, 월동온주가 2만4131톤으로 각각 전년보다 7.2%, 11% 감소했다. 하지만 만감류 처리량은 10만4228톤, 하우스온주는 2만6824톤으로 각각 전년보다 4.2%, 4.1% 증가했다. 

 

도는 △농가·행정의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노지감귤 비대·성숙기의 양호한 기상조건으로 인한 고당도 감귤 생산 △봄철 뭍지방 저온피해로 주요 과일의 생산량 감소 △철저한 선별, 사전 출하조절 및 상품외감귤 시장 유통 차단 등을 통한 상품가격 경쟁력 강화 등을 조수입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강재섭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고품질 감귤 생산과 유통체계 개선을 통해 감귤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농가소득 안정화에 노력하겠다”며 “소비자들의 당도 중심 선호도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유통 질서 확립을 위한 제재를 강화하고자 '제주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와 시행규칙 일부 개정을 10월 초 공포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며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