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를 주요 원수로 쓰는 제주도가 수질관리 인력과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다른 시·도의 수질관리 조직과 천양지차다.
13일 <제이누리>취재에 따르면 도는 현재 상하수도본부 산하에 수질관리 및 검사를 담당하는 수질검사팀을 운영 중이다.
하지만 광주광역시 수질연구소나 전주시 맑은물사업본부와 같이 수질검사와 관련된 조직을 연구소나 본부 단위로 확장·운영하는 다른 지자체와 비교했을 때 도의 조직은 규모와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현재 도의 수질검사팀에는 수질검사를 담당할 수 있는 연구사가 단 7명에 불과하다. 이는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 매우 부족한 인력이다.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는 약 30명 이상의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는 50명 이상의 인력이 수질검사와 연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도의 수질검사팀은 상하수도본부 내 상수도부에 속해 있다. 이런 이유로 환경직렬 공무원이 아닌 일반 행정직중 환경과 관련없는 공무원이 수질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관리방안이나 대책, 정책 등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수질검사 업무의 전문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지적된다.
반면, 다른 지자체는 수질 관련 전문 인력을 확보한 부서에서 팀 단위, 혹은 본부나 과, 연구소로 수질검사 업무를 수행해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인력 부족은 도내 17개 정수장과 지하수 원수 검사, 수돗물 안심확인제 등 추가적인 업무로 이어져 검사팀의 업무 과중을 초래하고 있다.
상하수도본부 관계자는 "제주도는 지하수를 주요 원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원수 채수와 안심확인제 실시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며 수질검사팀이 제주도 전역의 수질관리 업무를 모두 맡고 있는 상황의 어려움을 인정했다.
특히, 도는 지하수 오염과 고갈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어 수질검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관광객 증가와 기후 변화로 인한 수질 오염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수질검사 시스템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도는 수질검사팀의 조직을 과 단위로 확대하려는 시도를 여러 차례 했다. 그러나 번번이 무산된 바 있다.
관계자는 "현재 조직 확대나 개편에 대해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환경 분야 전문가들은 수질검사팀의 조직 개편과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관계자는 "수질관리는 도민의 건강과 직결된 문제로 전문 인력 확보와 조직 강화가 필수적"이라며 "특히 제주도는 지하수를 원수로 사용하므로 지하수 오염 방지와 수질관리 전문성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상하수도본부의 한 공무원은 "지하수 오염과 고갈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수질검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며 "지금 당장 아무렇지 않다고 생각하기보다 미래를 대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진근 제주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예전과 비교했을 때 토양오염과 지하수오염이 심화된 만큼 철저한 수질관리가 필요하다"며 "조직확대의 필요성을 공감한다"고 답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