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에너지, 인공지능(AI), 디지털 대전환을 비롯한 전 분야의 정책 기조를 '대전환' 관점으로 전환하며 실행력 강화에 나선다. 월간회의 중 발언하는 오영훈 제주지사다. [제주도 제공]](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102/art_17361330273491_ee1bba.jpg)
제주도가 에너지, 인공지능(AI), 디지털 대전환을 비롯한 전 분야의 정책 기조를 '대전환' 관점으로 전환하며 실행력 강화에 나선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6일 열린 월간정책회의에서 도정 시스템 전반의 대전환 정책 반영과 구체적 성과 창출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오 지사는 "민선 8기 전반기 동안 제주 전 분야의 패러다임 전환을 선언했으며 이제는 각 분야에서 가시적 성과를 확장해야 할 시점"이라며 대전환 정책의 체계적 실행을 당부했다.
이를 위해 기획조정실 중심으로 예산 편성, 조직 운영, 세정 정책 등 행정 시스템 전반에 대전환 정책을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2040년을 목표로 한 최상위 법정계획인 ‘제주특별자치도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에 실국별 핵심 사업을 추가로 반영해 에너지·AI·디지털 대전환, 푸드테크 육성, 원격 협진 사업 등 미래 지향적 전략을 구체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오 지사는 "정국 상황과 경기 침체로 관광객 감소세가 지속될 경우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이 우려된다"며 내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학술·단체 행사 개최와 함께 지역 내 내수 진작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특히 "도민들이 상호 협력하는 상생형 내수 활성화 시스템을 고민해야 한다"며 관광과 지역경제의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주문했다.
이날 회의에는 김완근 제주시장과 오순문 서귀포시장이 참석해 민선 8기 들어 처음으로 도와 행정시 간의 협력 강화를 논의했다.
오 지사는 "도와 행정시는 하나의 법인격을 대표하는 조직"이라며 "도정 기조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회의에서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지역안전지수 등급 향상, 탄소배출권 제도 추진, 2025년 주거복지 사업 등 주요 정책도 공유됐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