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양환경 종합상황실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아 혈세 낭비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도감사위원회의 감사 결과 상황실에 설치된 장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실질적인 활용 성과도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제주도감사위원회는 지난해 9월 제주해양수산연구원을 대상으로 종합감사를 실시한 결과 해양환경 종합상황실이 개설 이후 1년 넘게 제대로 운영되지 않았다고 22일 밝혔다.
해양환경 종합상황실은 제주 해양환경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예측하기 위해 2022년 12월까지 약 6억 9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서귀포시에 설치됐다. 하지만 상황실 내 항.포구 관측 폐쇄회로(CC)TV 표출 장비 6대가 모두 고장 난 상태였다. 또 유관기관과의 자료 공유나 화상회의 개최 실적도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양수산연구원은 일본 연구소와 화상회의 개최, 직원 업무공유, 어업인 견학 등의 활동을 통해 상황실을 활용했다고 주장했지만 감사위는 이를 본래 목적과는 거리가 먼 부수적인 업무로 판단했다. 실제로 화상회의 실적은 2건에 불과했고, 어업인 견학이나 업무공유 등도 관련 문서가 없어 검증되지 않았다.
감사위는 "상황실이 당초 설치 목적과 달리 적절히 활용되지 않고 있다"며 "운영 필요성 자체가 의문스럽다"고 지적했다.
특히, 해양환경 빅데이터 기반 마련이라는 상황실의 핵심 목표가 사실상 방치되면서 예산 낭비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감사위는 제주해양수산연구원장에게 상황실 운영 소홀에 대해 엄중히 경고하고, 고장 난 장비를 조속히 복구할 것을 요구했다. 또 상황실을 설치 목적에 맞게 운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