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지하수 특별관리구역에 정수장·전용관로 계획 … "한화 개발사업 맞춤형 특혜"

 

제주도가 지하수 고갈 우려로 추가 개발이 사실상 어렵다고 밝혔던 제주시 애월 지역에 정수장 신설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돼 특혜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10일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6월 상하수도본부가 작성한 '대규모 개발사업에 따른 상수도 공급 및 원인자 부담금 부과 방안' 문서에는 '애월포레스트' 개발에 하루 5400여 톤의 상수도를 공급하기 위해 '어음 정수장'을 신설하고 전용 관로를 설치하겠다는 계획이 명시돼 있다.

 

해당 지역은 한화그룹 계열사가 추진 중인 '애월포레스트' 대규모 관광단지 인근이다. 도는 이 사업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상수도 인프라 구축 방침을 세운 셈이다.

 

'애월포레스트'는 제주시 애월읍 상가리 일대 125만㎡ 부지에 1조7000억원을 투입해 휴양콘도(890실), 호텔(200실), 도심항공교통(UAM) 이착륙장 등을 조성하는 초대형 개발 사업이다.

 

하지만 문제는 해당 지역이 '지하수 자원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돼 신규 지하수 개발이 엄격히 제한되는 곳이라는 점이다. 실제로 도는 지난해 도의회 업무보고에서 "애월지역 지하수는 지속가능 이용량 대비 176%가 이미 개발돼 있어 추가 개발은 어렵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도는 당시 "상수도는 기존 시설을 활용하고, 개발로 이익을 얻는 사업자가 설치비를 부담하는 '원인자 부담 방식'으로 공급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불과 1년도 지나지 않아 도가 해당 사업을 전제로 별도 정수장 신설과 전용 관로 설치를 포함한 계획을 마련하면서 말 바꾸기 논란과 함께 '특혜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제주시 이도2동을)은 이에 대해 "개발사업에 맞춰 정수장을 짓겠다는 것은 사실상 특정 기업을 위한 맞춤형 특혜"라고 비판했다.

 

제주 상하수도본부는 "어음 정수장은 2022년 수도정비기본계획에 포함된 사업으로 정수처리가 이뤄지지 않는 중산간 소규모 급수지역의 정수 개선 필요성에 따라 추진되고 있다"며 "신규 지하수 개발은 없으며 기존 수원을 통합해 정수 처리 시설만 설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2023년 12월 발간된 '신규 정수장 개발 타당성 조사 보고서'에는 어음 정수장 관련 세부 계획이 포함돼 있지 않은 반면 동부지역 교래정수장 계획만 자세히 기술돼 있어 애월 지역 정수장 계획이 최근 특정 사업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무게를 더하고 있다.

 

특히 '애월포레스트'의 광역상수도 공급계획만 해도 하루 3262톤에 달한다. 이는 일반 가정 3200여 세대가 사용하는 수량과 맞먹는다. 전체 상수도 사용량은 5422톤으로 추정된다.

 

지하수 의존율이 97%에 이르는 제주의 상수도 구조에서 개발 여력이 가장 부족하다고 평가받는 애월 지역에 정수장을 새로 짓겠다는 방침은 향후에도 정책 일관성과 행정 신뢰, 공공 자원 이용 형평성 등을 둘러싼 논란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