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을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포함시켜 해양물류와 관광 산업을 함께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국정감사에서 나왔다. 지난 15일 열린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서 문대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문대림 더불어민주당 의원 페이스북]](http://www.jnuri.net/data/photos/20251042/art_176057287995_bc3a3e.jpg?iqs=0.832056771976568)
제주항을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포함시켜 해양물류와 관광산업을 함께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국정감사에서 나왔다.
문대림 더불어민주당 의원(제주시갑)은 지난 15일 열린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서 "중국이 북극항로 상업 운항을 시작하며 주도권을 확보한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국가 차원의 전략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문 의원은 지난달 22일 중국 닝보항을 출발한 선박이 이달 13일 영국 펠릭스토항에 도착하며 북극항로 완주에 성공한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은 전략적으로 대응이 늦었다"며 "해양수산부의 물류·인프라,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선·에너지, 외교부의 외교 전략이 동시에 가동되는 종합 대응 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제주항의 전략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문 의원은 "제주항을 핵심 기항지로 육성하면 북극항로 개척과 함께 해양물류와 관광 산업이 동반 성장할 수 있다"며 "향후 추진될 거점항만 연구용역에 제주를 포함하고, 유럽과 아세안 국가를 연결하는 교두보이자 문화관광 요충지로서 역할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에 대해 "북극항로 개척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모든 항만도시가 공유해야 한다"며 "제주는 크루즈 관광에 강점을 지닌 만큼, 내년에 추진할 거점항만 연구용역에서 크루즈 산업 관련 내용도 함께 검토해 포함하겠다"고 답했다.
문 의원은 또 "국제해사기구(IMO)가 북극 생태계 보호를 위해 중유 사용을 금지한 만큼, 친환경 선박 기술력이 높은 우리 조선 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