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안을 무대로 등장하는 ‘차(茶) 봉지’ 마약이 제주사회를 불안으로 몰고 가고 있다. 떠밀려온 마약에 더해 마약사범도 급증 추세여서 '처정 제주'의 위상을 무색케하고 있다.
'차 봉지' 마약은 최근의 상황이다. 지난 4일 오후 4시 40분께 제주시 조천읍 해안가 갯바위에서 한 낚시객이 마약 의심 물체를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 신고자는 "바다에서 떠밀려온 중국산 차 봉지를 열어보니 하얀색 결정체가 들어있어 마약을 의심했다"고 전했다. 경찰 간이 시약검사 결과 해당 물체는 케타민 양성 반응을 보여 수사에 돌입했다.
이는 한달여 전에도 벌어진 일이다. 9월 말 이후 제주시 제주항, 애월읍, 조천읍, 서귀포시 성산읍 광치기 해변 등 5차례에 걸쳐 ‘차 봉지’ 위장 마약이 발견됐다. 발견된 총량은 24㎏이다. 1회 투여량 기준 80만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이다.
이 때문에 제주가 자칫 마약유통의 거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고광언 제주중독예방교육원장은 "제주는 국제 관광도시로서 안전하다는 인식이 있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이 쉬워 아시아 마약 유통 거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수사기관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난달에는 차 봉지로 위장한 필로폰 1.2㎏을 제주국제공항을 통해 국내로 들여오려던 30대 중국인이 경찰에 붙잡혔다.
또 제주 내 호텔과 주거지 등에서도 마약을 투약·유통하던 업주와 종업원, 판매책 등이 연이어 검거되면서, 마약 범죄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3~6월 상반기 검거된 마약사범은 60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32명)에 비해 거의 2배로 불어났다.
현행법상 마약류는 향정신성의약품, 대마, 마약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젤리, 초콜릿, 음료 등 기호품 형태로 은밀히 제조·유통되고 있다. 고 원장은 "대마 등 마약류가 다양한 형태로 유통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제주도와 경찰 등 관계기관은 지난 7일 마약 대책 회의를 열었다. 제주경찰청과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제주도청, 제주세관, 국정원 등은 회의를 통해 공조체계 강화 및 대응방안을 모색했다.
이들 기관은 해안가 마약류 발견 현황 및 진행 상황 공유, 관계기관 간 정보공유 및 합동 대응체계 구축방안, 해안가 수색과 전단지배포 등 예방·홍보 활동 등을 긴밀히 협조하기로 협의했다. 제주경찰과 제주해경, 제주도청 등 관계기관은 합동으로 조만간 도내 해안가 일대에서 대대적인 마약류 수색 작업에 나선다.
제주해경청 관계자는 "이번 회의를 통해 관계기관 간 신속하고 유기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해상과 해안가 수색을 강화하는 등도민 안전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해안가에서 의심 물체를 발견하면 접촉하지 말고 즉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제이누리=강재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