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제주 해군기지(민군복합형관광미항) 예산을 부대조건을 달아 원안대로 통과시킨데 대해 찬반 단체가 엇갈린 주장을 하고 있다.
제주해군기지를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는 3일 해군이 국회의 결정을 무시해 제주기지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제주군사기지 저지와 평화의 섬 실현을 위한 범도민대책위원회는 이날 제주 민군복합항 관광미항사업단(해군 제주기지사업단)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군은 국회 부대조건에 따른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검증을 위해 70일간 공사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해군의 '국회 부대조건을 이행하는 동시에 공사를 진행하고 나중에 예산을 집행하겠다'는 입장은 국회의 부대조건 합의를 위반한 것이라고 봤다.
이들은 "국회가 해군의 불법 공사를 용인하는 태도를 버리고 조건부 사항의 철저한 준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며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국민 대통합 실현 여부도 제주해군기지문제를 어떻게 푸느냐에 달렸다"고 주장했다.
반면, 제주민군복합항건설촉구범도민지지단체는 이날 성명에서 "‘국가안보에는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는 국회의원들의 국가관과 안보관 그리고 제주사랑이 전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한 결과"라며 "하루속히 제주민군복합항 갈등에서 벗어나 제주발전을 위한 화합과 상생의 길로 가고자 하는 제주도민들의 바람이 투영된 결과"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에게 "지난 수년간의 갈등을 훌훌 털어버릴 수 있도록 제주민군복합항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강정마을 화합과 제주발전을 위한 상생의 정책을 적극 펼쳐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강정마을 주민들에게 "찬성과 반대 주민들은 그간의 갈등과 반목을 훌훌 털고 화합과 소통의 길로 가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이들은 "외부 반대시위자들이 계속적으로 공사방해를 위한 집회나 시위가 지속된다면 강정마을은 계속 갈등이 깊어질 것이며, 지금까지 공사방해로 인한 공사지연의 손실액이 230여억원으로, 이러한 손실액에 대한 책임도 분명히 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제주민군복합항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의지 그리고 확실한 국가안보관을 가진 대선 후보가 차기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난항 끝에 제주민군복합항 예산이 원안대로 여야 합의 하에 통과됐다"며 "제주민군복합항이 하루속히 건설되고 주민 갈등 역시 치유될 수 있도록 발전적 방향으로 도민들의 중지를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