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환경부, 내년 총회 개최지로 강원 평창…정치·지역·해군기지 때문(?)
경쟁 지역보다 뒤늦게 뛰어든 제주…“WCC 때문에 힘들었다”

제주도가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UN CBD/COP 12) 유치에 실패했다. ‘환경올림픽’인 세계자연보전총회(WCC)를 개최하고 ‘환경수도’를 추진하는 제주도다. 그래서 더욱 아쉬운 것이다.

 

그런데 다른 경쟁 지역보다 월등히 나은 인프라와 풍부한 경험에도 떨어진 이유가 무엇일까?

 

제 12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는 내년 9월29일부터 10월18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다. 193개국 2만여 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WCC 제주총회의 1만여 명보다 더 규모가 크다.

 

특히 이번 총회에서는 생물유전자원 접근·공유에 관한 ‘나고야의정서’ 이행체계에 대한 논의 및 발효가 예상되면서 국제적 관심이 높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총회 개최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4631억원으로 예상했다.

 

한국은 지난해 10월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열린 11차 총회에서 개최국으로 결정됐다.

 

환경부에 따르면 개최도시 민·관 선정위원회는 30일 서울 코리아나 호텔에서 최종 선정위원회를 열고 제주도 서귀포, 경상남도 창원, 강원도 평창 등 2014년 유엔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유치를 신청한 3개 지자체에 대한 최종 심의를 열었다. 선정위원회는 이에 앞서 지난달 22일부터 3일간 경남·제주·강원 순으로 실시한 현장실사를 벌였다.

 

선정위원회는 현장실사와 최종심의 결과를 종합, 강원도 평창을 최종 개최지로 결정했다.

 

이날 개최지 결정 직전 각 지자체들은 45분씩 최종 설명 등 프레젠테이션을 하면서 개최지로 적지임을 강조하고 나섰다.

 

제주도는 김선우 환경·경제부지사를 비롯한 오정숙 세계환경수도추진본부장, 제주국제컨벤션센터 관계자, 제주컨벤션뷰로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제주는 뒤늦게 뛰어들었지만 각종 인프라면에서는 경쟁 지역에 밀리지 않음을 내세웠다. 또 WCC와 수많은 정상회담 개최 경험, 정부가 지정한 국제회의도시, 세계 최초의 환경수도 추진, 8000여종에 이르는 풍부한 생물자원 등을 집중 부각했다.

 

그러나 심사위원들은 이날 뜻밖에 질문을 던진 것으로 알려졌다. 심사위원들 중에는 WCC 당시 참석했던 위원들도 있었는데, 총회 당시 숙박시설 이용료가 너무 비쌌다는 것이다. 이들은 이에 대한 해결책을 요구했다. 심사위원들은 또 WCC총회 당시 제주해군기지 반대 단체들로 인해 행사에 차질을 빚었다는 점도 지적했다.

 

도 관계자는 숙박시설과 관련해서는 “숙박업체들과 충분히 조정해 해결할 수 있다”고 해결책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해군기지 반대단체와 관련해서는 “제주도는 대한민국의 환경분야에서 대표성을 띤 곳이다. 외국인들의 입장도 고려해 달라”고 호소했다.

 

강원은 회의시설이 현재 없는 상태였다. 또 경남은 숙박시설이 모자란 형편이었다. 때문에 도는 객관적으로 모든 면에서 갖춰져 있고, 각종 대형 국제 행사를 치른 경험으로 비춰 무난히 선정될 것이라는 예상을 했다. 단 한 가지 우려된 점은 정치적·지역적 고려가 우려됐다.

 

결국 제주도는 최종 선택을 받지 못했다. 우려가 결과로 나온 것이다.

 

 

도는 정부의 정치적 문제·제주해군기지 문제 등으로 분석하고 있지만 뒤늦게 뛰어든 점도 한 몫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관계자는 “떨어진 원인에 대해 분석을 하고 있다”면서도 “강원도의 경우 회의장이 없어 회의장을 신축할 계획이다. 내년이 행사인데 개최지로 선정된 것이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평창 올림픽을 앞두고 있어 국제 경험을 쌓아보라는 취지에서 정부가 주지 않았나 생각된다. 제주에 연이어 환경회의를 줄 경우 다른 지자체로부터 반발을 의식한 것도 있어 보인다”고 추측했다.

 

그는 또 “제주해군기지 반대단체들이 WCC 제주총회 때 영향을 준 것도 이번에 지적된 점에 비춰 결과에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가 최종 개최지를 선정하기 때문에 지역안배와 정치적 고려, 제주해군기지 반대단체들로 인한 부담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제주도는 WCC에 집중한 나머지 이번 총회 유치에 다소 소홀한 것은 사실이다.

 

강원이나 경남의 경우 2011년부터 추진하고 범도민 추진위원회도 구성해 유치했다. 게다가 2012년 총회에서도 환경부와 함께 참석해 부스를 운영하고 총회 유치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거기에 비해 제주는 한국 개최 결정 이후 지난해 1월 말 환경부가 보낸 공문을 받은 뒤에야 준비를 했다.

 

도 관계자는 “뒤늦게 뛰어들어 처음부터 힘들 것으로 예측했다”면서 “사실 WCC도 2년간 매진했다. 실질적으로 행사를 하고 있는데 다른 것까지 추진하기는 한계가 있다. 전국체전도 내년에 있기 때문에 여러 면에서 검토할 것도 많았다”고 해명했다.

 

그는 “외국인들(UN)의 관점에서 봤다면 제주도가 됐을 것”이라면서 “환경수도 추진은 회의 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WCC보다 규모가 큰 행사다. 더구나 제주는 서울과 부산과 함께 국내 3대 국제회의 개최 도시다. 2개의 국제 행사를 연이어 개최할 정도로 여력이 없다는 것은 핑계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 마이스 관계자는 “모든 시설이 갖춰진 상태다. 경험도 많은데 충분히 2개의 큰 행사를 연이어 개최할 수 있지 않겠느냐”면서 “또 WCC를 개최와 이번 총회 유치는 별개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1993년 발효된 생물다양성협약은 기후변화협약, 사막화방지협약과 함께 유엔의 3대 환경협약으로 평가된다. 당사국총회는 2년마다 지구촌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이행방안을 논의하는 장이다. 생물자원이 갖는 생태·경제적 가치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총회 의미와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