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정의 특정 영자신문사에 대한 거액 보조금 특혜 논란이 의회 예산안 심사에서도 도마에 올랐다.
격주 발행하는 이 영자신문사는 올해 농협 도금고협력기금에서 4억원, 공보관실 예산에서 1억원 등 5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내년 공보관실 예산안엔 1억원이 편성돼 있다.
해당 영자신문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7월까지 영문판 발행을 5천부에서 2만부로 늘리고, 중국어판 창간, 온라인 홈페이지 구축 및 도정 홍보 등을 내용으로 하는 '제주브랜드 홍보위탁' 협약을 맺고 기금에서 4억원, 9월부터 올해말까지 공보관실 예산 1억원을 받았다.
김태환 지사 당시인 2010년엔 연간 홍보료로 5천만원이 집행됐다가 우근민 지사 취임 후 보조금이 대폭 증액되면서 특혜 논란이 일고 있는 것. 게다가 세입 예산으로 잡히지 않아 비자금 논란이 일고 있는 도금고 협력기금에서 4억원을 집행해 특혜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윤춘광 의원은 2일 공보관실 예산안 심사에서 "비공개로 감춰서 보조금을 주니까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것 아니냐"며 "중국, 미국 등에 도대체 몇부가 발송되는 지 조차 파악하지 못할 정도로 베일에 가려 있는데 몇억원씩 구독료를 지불하다보니 투명성 결여가 결국 잡음을 초래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윤 의원은 "행정기관이 책임의식을 갖고 투명하게 집행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하다보니 신뢰를 잃고, 해당 언론사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있다"며 "투명성이 담보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제주관광공사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등 공적 마케팅 기관과 함께 공적자금을 출연해, 신문사가 돈 걱정 없이 발행, 배부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라"고 공보관실에 주문했다.
강경식 의원은 "세계자연유산관리단에서 기금 4억원, 공보관실에서 1억원을 집행하는 등 부서별로 이중 지원하다보니 의혹을 사고 있는 것"이라며 "부서를 일원화해 적정 가격으로 집행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강문실 공보관은 "다른 부서에서도 예산을 집행한 사실을 몰랐던 부분은 반성하고 있다"며 "제주대 산학협력단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제주도가 출연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