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세계7대자연경관 선정을 둘러싼 의혹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는 가운데 캠페인을 주도했던 김부일 환경경제부지사가 해명에 나섰다.
그는 선정 과정에 한 점 의혹도 없다고 강조하면서도 논란의 중심인 수백억대의 행정전화투표요금 내역은 공개를 거부했다.
김 부지사는 15일 도청 기자실을 찾아 “7대경관 선정과 관련해 어떤 한 부분도 룰을 어기거나 변칙적인 방법을 쓰지 않았다”며 “저 자신을 걸고 말씀드린다”고 갖가지 의혹을 부인했다.
김 부지사는“제주세계7대경관 선정은 요금 취소되는 일도, 요금이 미납되는 일도 없다”고 밝혔다.
그는“투표요금을 공개하라는 일부의 주장이 있지만, 이를 공개할 경우 역산하면 투표수가 공개될 수 있다”며 “7대경관선정 등위나 투표수는 비공개로 한다고 합의한 것이어서 룰을 깨트릴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최종 후보지에 오른 28개 지역, 37개국가가 이 캠페인을 시작하기에 앞서 등위를 가리지 않는 등 몇 가지를 비공개 합의한 조건이 있다”며 “이것은 2007년 신7대불가사의 선정 때도 똑같이 합의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 1월 중순이면 절차가 다 끝나리라고 생각한다”며 “투표요금과 관련해 재단이나 어디에서도 문제점을 제기한 곳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KT 측이 전화투표를 통해 얻은 이익금은 반드시 공익사업으로 쓰겠다고 했다”며 "KT에 일정액을 지급했고, 아직 정산되지 않은 부분은 7대자연경관이 확정되는대로 의논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7대경관 확정이 늦어지는 이유는 각국의 전화수단이 디지털, 아날로그 등 그 형태가 달라, 검증절차를 밟기 위해 뉴세븐원더스 재단이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언론과 도민들이 모든 열정을 한데 모아 7대경관에 선정됐다. ‘할 필요가 있느냐’ ‘반드시 해야 한다’는 여러 가지 시각이 있었다”며 “그러나 우리는 도민의 의지를 모아 이를 추진했다. 그때 열정, 염원으로 좀더 지켜봐 달라”고 당부했다.
김 부지사는 “미납요금 등이 도민 사회에 오해를 불러일으켜 도민들에게 송구스럽다”면서도 “제주를 위해서 많은 세계인들이 투표를 해줬다. 기탁금도 자그만치 57억7300만원에 이른다. 이런 제주도를 위한 마음, 이런 마음을 베풀어준 분들께 이렇게 심려를 끼쳐드려도 되는 것인가라는 생각이 든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