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제주도 부지사의 세계7대자연경관 선정 관련 해명은 오히려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며 “이러한 부실 해명은 뜨거운 애국심으로 제주7대자연경관 선정에 참여한 우리 국민의 순수한 열정에 대한 배은망덕한 처사이며, 국민의 알 권리를 송두리째 짓밟은 행위”라고 주장다.
이 의원은 우선 전화투표수 공개시 합의를 어긴 것이라는 제주도의 주장에 대해 거짓이라고 반박했다.
이 의원은 이에 대해 “7대 자연경관 선정은 인터넷투표와 문자투표, 전화투표 3가지로 이뤄졌기 때문에 전화투표통수를 공개하는 것만으로는 순위를 짐작조차 할 수 없다”며 “또 투표를 통해 7대 경관을 선정해놓고 투표수를 공개하지 않기로 합의했다니 이 무슨 궤변인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김 부지사가 외국의 아날로그 전화시스템 때문에 확정발표가 지연된다는 것에 대해서도 거짓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집계에 시간이 걸린다면 11월11일 투표 종료가 끝난지 하루만인 12일에 선정결과를 집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만일 다른 국가의 집계와 객관적 검증에 2개월이 소요되는 것이 사실이라면 이 결과에 따라 제주도가 최종 선정지역에서 탈락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꼴 밖에 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 의원은 김 부지사가 전화투표 요금과 관련, 최종인증 절차가 끝난 뒤 KT와 정산문제에 대해 협의하겠다고 밝힌 부분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 의원은 “최소 400억원 이상의 행정전화를 사용하고 사후에 협의하겠다니, 이는 소위 ‘돈 없으니 배 째라는 것’과 무엇이 다른지 알 수 없다”며 “국민의 혈세를 집행하는 기관이라면 법대로 처신해야 한다. 나라를 위한 일이니 기부한 셈치고 400억 원을 포기하라는 얘기라면 조직폭력배와 다를 것이 없다”고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이 의원은 감사원에 제주도청의 행정전화에 대한 예산 편성과 집행 현황에 대한 철저한 감사를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