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유통업체들이 외지 대형 업체들에게 시장을 내주면서 초토화되고 있는 가운데 골목상권까지 편의점에 뺏기고 있어 지역상인들이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전반적인 실태조사 분석과 관련 법규의 정밀한 검토 등을 통해 편의점 신규개설 및 기존매장 확장을 제한하는 총량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제주상공회의소(회장 현승탁)는 20일 ‘골목상권 살리기 연구용역 결과’를 통해 전반적인 실태를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했다.
제주상의는 지난 8월 제주대(연구책임 강기춘 제주대 경제학과 교수)에 의뢰해 대기업의 편의점 확장 추세가 도내 골목상권 붕괴에 직격탄을 초래함에 따라 골목상권 보호 육성에 대한 법 제도적 장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골목상권 살리기 대책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0월 현재 편의점 수는 533개로 지난해 346개보다 54%나 급증했다.
지난해에도 전년 249개보다 39% 증가하는 등 최근 급증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도내 편의점 점포수는 2004년 157개에서 2010년 346개로 연평균 14.1% 증가했다.
전국 연평균 증가율 12.7%보다 1.4%p 높다.
특히, 지난해 편의점 1곳 당 인구수는 1650명으로 전년 2261명보다 611명 감소했다.
편의점 당 가구수는 650가구로 전년(876가구)보다 226가구 줄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치로 인구와 가구수에 비해 편의점 출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골목상권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제주도체인본부협의회에 가입된 골목 수퍼마켓은 올해 5월 현재 819개소로 2007년 9월 1254개소에서 4년 새 435개소(34.7%)가 사라졌다.
지역 골목점포 상인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도 실시했다.
상인들은 골목상권 침체 이유에 대해 대형마트 진출(86.2%)과 대기업 편의점 확대(83.9%)를 꼽았다.
이어 '경기침체' 62.7%, '소비자의 취향과 생활스타일 변화' 56.9% 순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이 감소하고 있다는 응답이 증가 추이에 있다는 응답보다 지난해 상반기와 하반기 각각 13.8%p, 23.7%p, 올해 상반기 32.8%p로 확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시설개선 지원(21.5%)' '체인본부 공동마케팅 활성화(17.8%)' '편의점 점포증설 차단(17.6%)'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중소유통업 활성화기구 창설'에 74.2%가 찬성했다.
보고서는 골목상권 실태조사와 설문분석을 토대로 골목상권 보호 육성을 위해 자생력 강화와 함께 제도적 행정적 정책 제안을 제시했다.
골목상권 자생력 강화를 위해 △기업가 정신 함양을 위한 상인교육 △공동마케팅(공동구매·공동판매·공동물류·공동창고 등) 강화 △골목상권 수퍼바이저제 도입(개별점포교육 및 컨설팅 지원) △PB 상품 개발 지원 △관광객 및 지역주민 밀착형 서비스 개발 △서비스 차별화 방안 강구 △골목상권 점포이용 불편사항 개선 등을 제시했다.
제도적·행정적 지원방안으로는 △편의점을 대규모 점포의 범주에 포함되도록 하는 유통산업발전법 등 제도개선 추진 △신규 개설 및 기존 매장면적의 확대를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유통업체 총량제 도입 추진 △간판 및 점포디자인 등 시설 개선 지원 △골목상권 육성 특별자금 지원 등 제도개선 등의 정책지원과 제도적 보호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에서 (가칭)중소유통업활성화추진단 운영 방안이 제시됐다.
중소유통업활성화추진단은 지역 중소유통업 실태를 정기적으로 조사해 개선 방안 도출과 점포 컨설팅, 교육, 제도개선 및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개발하는 등의 기능을 하도록 했다.
제주도와 제주상공회의소가 공동운영하고, 위원은 지역 골목상권 대표·학계 및 전문가·상공회의소·행정기관 등으로 구성하며, 2개월에 한 번씩 정례 회의를 통한 현안문제 등을 다루며, 현지조사와 벤치마킹 등을 수행할 것을 주문했다.
제주상의와 제주도는 행정시, 상인단체, 유관기관 등이 참석하는 골목상권 살리기 연구 결과 설명회를 갖고 향후 추진계획 등을 수립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