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야권이 한미 FTA와 제주해군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것에 대해 "한미 FTA, 제주 해군기지는 사실 전 정부에서 결정을 했고, 국가 미래 경제 발전이나 안보를 위해 매우 올바른 결정을 했다고 본다"며 “전 정부 시절, 두 가지 사안에 대해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추진한 분들이 반대하는 것에 대해 가슴이 답답하고 안타깝다”고 22일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취임 4주년 기자회견에서 “물론 선거철이 되고 전략적으로 그렇게 할 수 있겠지만, 만일 그런 모든 걸 하지 않고 했던 것을 폐기하면 국가 미래를 위해 할 수 있는 게 뭐가 있겠느냐”며 야권의 포퓰리즘 전략이라고 비판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야권이 제주해군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것과 관련해 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와 이해찬 전 총리의 과거 발언을 예로 들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한명숙 대표께서 2007년 2월 속기록을 보니 ‘대양해군 육성하고 남방항로 보호를 위해 해군기지건설은 불가피하다’고 답변을 하셨더라”며 “이해찬 전 총리도 ‘제주가 평화의 섬이라는 이유로 군사기지건설이 안 된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아주 소신 있게 말씀하셨더라”고 말했다.
또 "유시민 통합진보당 대표도 평화의 섬과 대양의 섬을 지키는 전진지기를 지키는 건 모순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제주 해협에 우리가 관련된 우리 배만 연간 40만척이 된다. 지금 소말리아 아덴만 해협에 우리 배 500척을 해적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우리 함대 나가 목숨 걸고 지키고 있는데, 현재 40만척 다니는 제주해역, 앞으로 경제성장하고 무역도 1조불에서 2조불 가면 수십만척 1백만척이 움직일 텐데 무방비로 간다면...그걸 의식해서 전 정부가 ‘전방지켜야 한다. 필요하다. 안보, 경제 군사안보라고 생각해서 그리 생각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제주해역을 무방비 상태로 둘 수 없다"며 "(기지 건설이)빨리 되는게 좋겠다. 늦어지면 예산도 많이 들고 효과도 없다"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하와이 해군기지는 관광코스에 들어 있다"며 "(해군기지가)제주의 평화와 관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어떤 경우에도 국익과 나라의 미래가 걸린 핵심 정책은 원칙을 확고하게 지킬 것"이라고 거듭 강조하며 "다음 정부에 부담을 주는 일은 하지 않겠다. 바로 오늘의 젊은 세대에게 짐을 지우는 일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