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로 인구가 순유입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불어닥친 부동산 열풍이 제주도민들의 자산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주택구입 부담만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22일 공개한 ‘제주지역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특징 및 시사점’에 따르면 제주 부동산 시장은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인구와 자본 유입이 계속돼면서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는 투기성 거래 규제 강화, 일정한 곳에 정착하기 어려운 여건으로 인해 제주 이주민이 줄어들면서 침체를 보이고 있다.
다만 올해 비규제 지역에 제주가 포함돼 투자자금 유입 등으로 주택 가격이 반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2010년 이후 장기간에 걸친 도내 부동산 가격 상승이 도내 가구별·지역별 자산 불균형을 심화시켰고, 도민들의 주택구입 부담이 커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실제로 제주지역 부동산 보유 1분위와 5분위 가구의 부동산 가격(중위값 기준) 격차가 2012년 5억2000만 원에서 2020년 14억2000만 원으로 3배 가까이 늘었다.
가구의 소득수준별 순자산 규모를 살펴보면 1분위는 2012년 2000만 원에서 2019년 2000만원으로 변동이 크지 않았다. 하지만 5분위는 3억 원에서 6억1000만 원으로 2배 이상 늘었다.
지수가 클수록 주택구입부담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 주택구입부담지수는 2014년 45.5에서 2017년 82.6으로 크게 상승한 후 2020년 67.3로 떨어졌다. 그러나 여전히 57.4인 전국 평균과 비교하면 높은 편이다.
가계대출은 주택자금 마련 목적 등으로 크게 늘어 도민들의 채무부담도 커졌다.
제주지역 가계대출 규모는 2010년 4조3000억원에서 2019년 16조4000억원(2019년)으로 10년 새 3.8배 늘었다. 이는 1.8배인 전국 증가폭을 두 배 이상 웃돈 값이다.
특히 이 기간 주택담보대출 규모만 떼어내 보면 1조2000억원에서 5조1000억원으로 4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태헌 한국은행 제주본부 기획금융팀 과장은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이나 토지담보대출 등의 기타 가계대출에서도 주택 구입을 위한 자금 마련 목적으로 이뤄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실제론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제주 부동산 시장은 도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면서 "섬이라는 특수성에서 비롯된 공급제약 여건 등을 감안할 때 시장 안정을 위한 공공 부문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지속적인 주택 공급 및 선제적인 인프라 조성 등에 공공부문의 역할을 강화하고 자연 경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지역개발 사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