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올해 전셋값·매매가 상승률 전국 1·2위 ... 평균 분양가 3.3㎡당 2573만원

 

올해 제주도내 아파트 매매·전세·분양가격이 동시에 급등하고 있다.

 

12일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에 따르면 제주지역 아파트값은 올들어 7월 첫째 주까지 10.8% 올랐다. 아파트값 누적 상승률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인천(12.35%)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지난 5월 셋째 주 제주 아파트값 상승률은 1.17%다. 부동산원이 2012년 5월부터 제주도 아파트값 변동률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래 주간 최고치를 찍기도 했다.

 

아파트 전셋값도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올들어 이달 첫 주까지 9.33% 올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제주 아파트 매매가와 전셋값이 각각 1.30%, 0.59% 하락한 것과 대비된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제주도가 지난 몇 년간 집값이 하락세여서 현재 저평가됐다는 인식이 크고, 비규제지역이다 보니 제주시 노형동, 연동, 아라동을 중심으로 투자 수요가 유입되고 있다”면서 “매맷값이 전셋값을 끌어올리고, 서귀포시에서는 풍선효과에 따른 '키 맞추기'도 이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제주에 거주하지 않는 외지인이 제주 아파트를 매입한 비율은 ▲2017년 23.1% ▲2018년 17.8% ▲2019년 15.7%로 하락세였다. 그러난 지난해부터 19.0%로 반등, 올해 1∼5월에는 25.6%로 껑충 뛰었다.

 

제주시 노형동 중흥에스클래스 전용면적 84.9963㎡는 지난달 29일 7억1000만원(6층)에 팔렸다. 7억원을 처음 넘으며 최고가 기록을 경신했다.

 

노형동 부영2차 전용면적 45.9078㎡는 지난달 5일 3억5000만원(5층)에 매매 계약돼 신고가를 다시 썼다.

 

해당 단지 근처에서 영업하는 한 부동산 중개업소의 대표는 "현재 시세는 3억5000만∼4억원에 형성돼있다”면서 "전세 시세도 올들어 가장 높게 거래된 2억2000만원을 넘어 현재 2억3000만원이 시세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박합수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제주도에는 원래 도심지에 아파트가 많지 않다가 얼마 전부터 제주시 노형동과 서귀포시 혁신도시(서호동)를 중심으로 아파트촌이 형성되고 있다”면서 "서귀포시에 대규모로 들어선 제주영어교육도시도 제주 아파트의 매매·전세 수요를 끌어올리고 있다"고 풀이했다.

 

 

서귀포혁신도시 LH2단지 전용 84.9㎡는 지난달 15일 5억5000만원(10층)에 매매 계약돼 역대 최고가를 새로 썼다.

 

해당 단지 내 중개업체 관계자는 "아파트값 금액대는 제주시가 높지만, 상승률은 서귀포시가 더 높다"며 "작년 10월과 올해 1월 서울에서 단체로 투자자들이 몰려와 엘에이치 아파트 매물을 싹쓸이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매맷값과 전셋값이 치솟으면서 새 아파트 분양가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제주 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는 2573만원이다. 2019년 1273만원, 지난해 1646만원에 이어 대폭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제주시 연동 소재 e편한세상연동센트럴파크는 지난 4월 평균 분양가격이 3.3㎡당 2750만원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 역대 평균 분양가 중 가장 높았다. 

 

반면 제주시 분양 물량은  ▲2019년 1498가구 ▲지난해 997가구 ▲올해 610가구로 감소세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올해 제주 아파트값 상승과 연동해 전세가와 분양가도 오르는 것”이라면서 "제주는 다른 지역과 비교해 주택 수요의 부침이 있고, 이에 따른 거품 우려도 제기되는 만큼 현시점에서 투자는 신중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연합뉴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