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평균 75.1점으로 5년 전보다 떨어져 ... 제주경찰청.테크노파크 각각 E.F 등급

 

제주도내 공공기관 웹사이트 정보 접근성이 5년 전보다 더 떨어져 장애인 등 정보 취약계층이 이용하기 불편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제주장애인인권포럼에 따르면 도내 관공서, 공공기관, 도서관 등의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 3월부터 3개월간 웹 접근성 모니터링을 한 결과, 장애인 정보 접근성이 2016년 조사 때와 비교했을 때 오히려 퇴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웹 접근성은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이용하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을 뜻한다.

 

모니터링 주요 지표는 ▲주 메뉴 및 본문 접근성 ▲키보드 접근성 보장 ▲이미지 대체텍스트 제공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등 10가지다.

 

이번 조사는 포럼이 2016년 조사했던 121곳 가운데 폐쇄되거나 접속할 수 없는 10곳을 제외한 111곳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평균 평점은 조사 결과 75.1점(C등급)으로 나타났다. 2016년(81.7점·C등급)과 등급은 같으나 평점이 떨어져 전보다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불편하고 어려워진 것으로 풀이된다.

 

 웹 접근성이 양호한 수준인 곳은 A등급 14.4%, B등급 25.2% 등 39.6%에 불과했다. 2016년(62.8%)과 비교하면 크게 줄었다.

 

중증장애인은 이용할 수 없는 수준인 E·F등급은 22.5%를 차지했다. 2016년(14%)보다 8.5% 늘었다. 

 

제주테크노파크는 2016년 89.7점(B등급)이었다. 그러나 이번엔 조사 대상 중 가장 낮은 14.6점(F등급)을 받았다.

 

제주경찰청도 2016년 85.4점(B등급)이었다. 이번엔 41.5점(E등급)으로 떨어졌다.

 

포럼 관계자는 "웹페이지에서 콘텐츠나 사진을 게재할 때 텍스트를 인식해 음성으로 알려주는 이미지 대체 텍스트 서비스가 이뤄져야 장애인들의 정보 접근권이 보장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인식이 부족한 것 같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그러면서 "웹접근성에 대한 의무화는 돼 있다. 그러나 위반 시 제재에 대한 규정이 마련돼 있지 않아 웹접근성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성완 제주장애인인권포럼 대표는 "코로나19 속 거리두기로 인해 점차 비대면화 되는 가운데 공공 영역의 기관조차 웹 접근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정보 취약계층 고립은 더욱 심화할 것”이라면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