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기상학적 겨울, 10일 동안 일 평균기온 5도 미만 지속돼야 ... 봄.가을은 실종

 

지난 60년간 제주에서 '기상학적 겨울’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제주지방기상청은 ‘제주 24절기 계절길이 변화 분석 자료집’을 13일 발간, 최근 60년 중 초기 30년(1961∼1990)과 최근 30년(1991∼2020)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제주는 사계절 중 기상학적 겨울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상청이 정의한 겨울 시작일은 일 평균기온이 5도 미만으로 내려간 뒤 10일 동안 지속돼야 한다.

 

봄 시작일은 2월 3일에서 1월 27일로 7일 앞당겨졌다. 여름 시작일도 6월 7일에서 5월 30일로 8일 앞당겨졌다.

 

반면 가을 시작일은 10월 5일에서 10월 12일로 7일 늦어졌다.

 

특히 봄과 가을은 전반 30년에 비해 후반 30년이 더 짧아졌다. 봄은 124일에서 123일로, 가을은 121일에서 107일로 각각 1일, 14일 짧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름은 120일에서 135일로 15일 길어졌다. 

 

아울러 24절기의 기온 변화 추세를 보면 과거 10년(1961~1970년) 대비 최근 10년(2011~2020년)의 기온은 백로(9월 8일)를 제외하고 모두 올랐다. 

 

평균기온 추세가 가장 큰 절기는 소한(1월 5일)으로 3.1도 올랐다. 과거 대비 최근 10년 동안 최고기온과 최고기온이 가장 크게 오른 절기는 각각 입하(5월 5일, 3.5도)와 입동(11월 7일, 5.9도)으로 나타났다.

 

기온 상승 경향은 겨울철 절기에서 유난히 뚜렷했다. 입동(11월 7일)의 최저기온은 60년간 6.1도 올랐다. 대한(1월 20일)의 최저기온은 4.4도 올랐다.

 

기상청 관계자는 “강수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처서 8월 23일에 가장 많다”고 말했다.

 

전재목 제주지방기상청장은 "분석집을 통해 제주도의 절기와 계절 변화를 기술했다"면서 "제주도내 유관기관의 기후변화 적응 및 대응에 대한 정책수립과 농업에 종사하는 많은 도민들이 활용하면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