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구상나무 숲의 쇠퇴 원인은 잦아진 태풍의 강한 바람과 기후변화, 숲의 연령구조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8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점차 사라져가는 제주 한라산 구상나무 숲의 쇠퇴 원인은 연륜연대학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잦아진 태풍의 강한 바람과 기후변화, 그리고 숲의 연령구조와 관련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륜연대학은 나무의 나이테를 통해 과거는 물론 현재의 기후 및 자연환경의 변화를 밝혀내는 학문이다.
구상나무는 2011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위기종으로 분류된 나무다. 신생대 3기부터 수백만년 동안 혹독한 환경을 견디며 우리나라에 적응한 특산수종이다.
구상나무 자생군락은 특히 한라산에만 형성돼 있어 한라산 구상나무 숲은 우리나라 대표 구상나무 숲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39% 이상 쇠퇴한 것으로 보고됐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충북대 서정욱 교수팀과 2017년부터 3년간 한라산 구상나무 숲(해발 1600∼1700m)에서 고사목과 생육목 모두 120개체의 나이테를 연륜연대학의 방법으로 분석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뒤이어 지난 32년간의 기상자료와 비교했다. 한라산 구상나무 숲의 정확한 쇠퇴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다.
그 결과, 태풍의 강한 바람과 기후변화로 인한 봄철 온도상승, 구상나무의 비교적 낮은 한계수명 등이 구상나무 숲이 줄어든 원인인 것으로 밝혀냈다.
한라산 동쪽(진달래밭)과 남쪽(방에오름)을 중심으로 강한 바람에 넘어진 고사목은 2012년에 가장 많았다. 그해 태풍 볼라벤 등 잇따른 강한 태풍이 제주도 구상나무 숲 고사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생물학적 한계수명은 150년 이하로 파악됐다. 다른 나무 종에 비해 짧은 편이다. 조사된 나무 중 가장 오래된 생육목은 114년, 고사목은 131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구상나무 고사 시기는 아울러 대부분 봄과 여름 사이(약 63%)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상승이 나무가 생장을 시작하는 봄철 건조한 환경을 조성, 수분 부족으로 쇠퇴에 영향을 준다는 기존 분석을 뒷받침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유전다양성복원팀 임효인 박사는 “이번 한라산 구상나무 쇠퇴 원인 구명은 태풍 위협의 심각성과 더불어 구상나무 숲의 연령 구조를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면서 "한라산 구상나무 숲의 지속가능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DNA 이력 관리를 이용한 과학적인 복원기술 등과 같은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최근 산림분야 국제학술지 '앳모스피어'(Atmosphere) 2021년 특별호에 게재됐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