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8 (토)

  • 구름많음동두천 -3.3℃
  • 맑음강릉 0.2℃
  • 서울 -1.3℃
  • 대전 -1.4℃
  • 맑음대구 0.1℃
  • 맑음울산 0.5℃
  • 흐림광주 2.2℃
  • 맑음부산 2.6℃
  • 흐림고창 2.5℃
  • 흐림제주 6.9℃
  • 흐림강화 -1.9℃
  • 흐림보은 -1.6℃
  • 흐림금산 -1.4℃
  • 구름많음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0.0℃
  • 맑음거제 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냉장고 같은 용암동굴 샘물 솟는 용천수 피서지로 안성맞춤
자리물회·한치물회·개역 등 여름철 별미 "더위야 가라"

올여름 기나긴 장마 속에도 제주는 한낮 30도를 넘나드는 무더위와 열대야가 밤낮으로 이어지고 있다.

 

 

높은 습도와 기온 탓에 밖을 나서면 끈적끈적한 땀이 흐르고 불쾌지수는 덩달아 올라간다.

 

기상이변으로 인해 날씨가 더욱 무더워지고 있다지만 한여름 더위는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냉감 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속옷도, 에어컨과 같은 각종 냉방기기도 없던 옛날 제주 사람들은 어떤 방법으로 더위를 이겨냈을까.

 

예로부터 이어져 오는 제주만의 색다른 피서방법을 알아보자.

 

◇ 가지각색 제주 전통 피서법

 

뜨거운 햇살이 내리쬐는 한여름 제주.

 

낮이든 밤이든 더위를 피하기 좋은 안성맞춤 장소는 사계절 푸른 '바다'다.

 

아이들은 바다에 풍덩 뛰어들어 물놀이하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른 채 하루해가 저문다.

 

반면, 어른들은 바닷가에서 일명 '모살뜸'을 즐겼다.

 

모살은 모래를 뜻하는 제주어로, 모살뜸은 쉽게 말해 모래찜질이다.

 

 

공항에서 동쪽으로 10㎞가량 떨어진 제주시 삼양해수욕장은 검은모래로 유명하다.

 

해안 현무암 지대를 덮은 흑사장이 아담하게 펼쳐진 이곳은 예부터 여름철만 되면 신경통과 피부병 등 각종 질환을 치료하려는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모래찜질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삽으로 한 사람이 드러누울 만큼 깊게 모래를 파 공간을 만들고, 일정 시간 여름 볕에 모래가 달궈질 때까지 기다린다. 모래가 달궈지면 70도가 넘을 정도로 뜨거워지는데 간혹 화상을 입을 수도 있어 사람들은 삼베옷이나 소매가 긴 옷을 입고 들어간다.

 

검은모래 속에 들어가 있다보면 10분도 안 돼 몸이 후끈후끈 달아올라 전신에 땀이 난다. 찜질을 받고 그대로 일어나 바다로 가서 모래를 씻고 오면 피부가 반질반질해지고 몸이 아주 가뿐해진다고 한다.

 

한 무리 사람들이 발끝에서 목까지 검은모래를 덮고 양산이나 파라솔 아래로 얼굴만 내민 채 찜질하는 모습은 이곳 해변에서 볼 수 있는 색다른 풍경이다.

 

올여름 삼양해수욕장에서는 7월 중순부터 지역의 모살뜸 전문가들이 이 같은 이열치열 피서체험을 돕는다.

 

 

제주의 독특한 피서법은 이뿐만이 아니다.

 

바닷가 주변에서 샘솟는 일명 '산물'을 즐기는 것이다.

 

'산물'은 말 그대로 '살아 샘솟는 물'(용천·湧泉)이란 뜻의 제주어다.

 

용천수(湧泉水)는 빗물이 한라산이나 곶자왈 등지에서 스며들어 땅속을 흐르다가 지층이 깨지거나 열린 틈을 통해 지표면으로 자연스럽게 솟아나는 샘물을 말한다.

 

제주 사람들은 제주공항에 인접한 도두포구의 '오래물'과 삼양해수욕장의 '샛다리물', 곽지해수욕장의 '과물', 애월해안산책로의 시작점에 있는 '하물', 함덕해수욕장의 '고두물', 서귀포 예래동의 '논짓물' 등 일 년 내내 18도의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노천탕에 몸을 담가 더위를 피했다.

 

일단 용천수 안에 들어가면 뼛속까지 시린 찬 기운에 1분을 버티기 힘들 정도다.

 

 

이외에도 제주의 역사를 담은 사진집을 들여다보면 음력 7월 15일 백중날 사람들이 폭포수를 맞는 장면이 눈에 들어온다.

 

여성들이 우비를 뒤집어쓰고 물을 맞으며 몸을 잔뜩 움츠린 모습은 흐릿한 흑백사진이지만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무더위를 날릴 수 있을 정도로 시원하게 느껴진다.

 

제주에는 예부터 '백중날 물맞이'하러 가는 풍속이 있다.

 

백중날 물을 맞으면 위병, 허리병, 열병을 비롯한 속병까지 고쳐 준다는 속설이 전해진다.

 

심지어 '백중물은 약물(藥水)'이라 해서 사람들은 한라산에서 흘러 내려와 바다로 떨어지는 물을 받아먹기도 했다.

 

비단 백중날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서귀포 소정방폭포 또는 원앙폭포 등 자연폭포에서 한여름 무더위를 식히기 위해 물을 맞는 도민과 관광객의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제주 사람들은 시원한 냉기가 흐르는 동굴 속으로 들어가 더위를 피하기도 했다.

 

제주에는 많은 용암동굴이 있는데 그 중 만장굴, 협재굴, 쌍용굴, 미천굴 등 이름난 동굴은 더위를 피하기 위한 안성맞춤 장소다.

 

바깥 기온이 최고 35도 안팎을 오르내려 걷기가 어려울 정도일 때도 동굴 내부는 냉장실과 비슷한 12∼14도를 유지해 시원하다 못해 소름이 끼칠 정도의 추운 느낌이 들어 더위를 싹 가시게 한다.

 

◇ "자리·한치물회 먹고 더위 안녕∼"

 

'금강산도 식후경'이라고 더위를 이겨내는데 음식을 빼놓을 수 없다.

 

여름철 계절 음식으로 삼계탕·보신탕·냉면·콩국수·빙수가 유명하지만, 제주사람들은 물회를 최고로 친다.

 

특히 자리돔 물회(자리물회)는 제주의 대표적 향토 음식으로 많은 사람이 즐겨 먹는다.

 

자리물회는 붕어만 한 크기의 생선인 자리돔으로 만든 물회다. 싱싱한 자리돔의 머리를 떼어낸 뒤 비늘을 벗겨 얇게 저며 썰고 된장, 오이, 부추, 깻잎 등 채소를 넣어 만든 자리물회는 시원하고 개운한 맛이 일품이다.

 

제주의 물회는 된장을 넣는 게 특징이다. 옛날 제주는 지리적 특성상 고춧가루와 고추장을 구하기 어려워 된장을 주 양념으로 사용했다.

 

또 기호에 따라 독특한 향을 내는 제피(초피나무 잎)를 넣어 먹기도 한다.

 

 

푹푹 찌는 무더운 한낮 식당에 들어가 얼음이 동동 뜬 자리물회 한 그릇을 뚝딱 해치우고 나면 송골송골 이마에 맺힌 땀방울도 가을바람을 맞은 듯 소리 없이 사라진다.

 

보리 베기가 한창인 6월에서 7월 중순 사이가 자리돔이 가장 맛있다곤 하지만 여름 내내 먹을 수 있는 별미다.

 

제주 연안에서 보통 7월 중순부터 잡히기 시작하는 한치 역시 빼놓을 수 없다.

 

여름철 제주 인근 연안에는 한치잡이 배들이 칠흑같이 어두운 밤바다를 밝혀 해안가를 더욱 운치 있게 만들곤 한다.

 

제주를 배경으로 한 TV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에서 소원을 들어주는 '100개의 달'로 표현된 것이 바로 한치잡이 배들이다.

 

불을 쫓는 주광성 어종인 한치를 효율적으로 잡기위해 어선은 집어등을 환하게 켜 조업하는데, 멀리서 보면 바다에 수많은 달이나 별이 떠있는 듯한 착각마저 든다.

 

도민과 관광객들은 초여름 제주 밤 바다의 황홀한 모습에 잠시 넋을 놓고 바라보곤 한다.

 

 

오징어의 일종인 한치는 발 10개 가운데 2개의 긴 발을 제외한 나머지가 한 치(1寸, 3.03㎝)에 불과하다 해서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

 

오징어보다 살이 부드럽고 맛은 고소하고 담백하다.

 

간단히 회로 먹어도 맛있지만, 한치물회도 사람들이 즐겨 먹는다.

 

채로 썬 싱싱한 한치에 오이, 양파, 부추, 깻잎, 풋고추 등을 넣고 된장 간을 해 만든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시원한 한치물회나 한치회를 찾는 이들이 많다.

 

한때는 공급 물량 자체가 줄어 돈을 주고도 좋은 한치물회를 사 먹기 쉽지 않았다.

 

몇년 전에는 기나긴 장마로 인해 해수 온도가 낮아져 수온에 민감한 난류성 어종인 한치 어획량이 줄어들기도 했다.

 

물회 외에도 제주의 여름철 별미 중 하나는 '개역'이다.

 

개역은 보리 미숫가루를 일컫는 제주어다. 다른 지방에는 미숫가루를 쌀이나 찹쌀로 만들지만, 제주에는 쌀이 귀했기 때문에 보리로 미숫가루를 만들었다.

 

5∼6월께 보리 수확을 마친 후 솥에 볶아 맷돌로 갈아 만든 개역은 물에 얼음을 띄워 함께 타 마시거나 가끔 식은밥에 비벼 먹었다.

 

본격적인 7말 8초 휴가철을 맞아 최고의 여름 휴양지 제주에서 관광하며 독특한 제주 전통 피서법으로 더위를 이겨보는 건 어떨까. [연합뉴스=변지철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