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8.0℃
  • 맑음강릉 19.4℃
  • 맑음서울 16.6℃
  • 맑음대전 18.3℃
  • 구름조금대구 18.4℃
  • 구름조금울산 18.1℃
  • 구름조금광주 18.3℃
  • 구름많음부산 18.2℃
  • 맑음고창 16.1℃
  • 구름많음제주 17.0℃
  • 맑음강화 15.3℃
  • 맑음보은 16.7℃
  • 맑음금산 17.3℃
  • 맑음강진군 18.8℃
  • 맑음경주시 19.2℃
  • 구름많음거제 1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경기침체에 몰린 제주 부동산 … 경매 건수 6천건 넘어 '비상'

 

한때 인구 유입과 투자 열기로 부동산 호황을 누리던 제주에서 법원 경매 건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경기 침체 여파까지 겹치면서 실수요자들의 시장 진입도 한층 위축되는 분위기다.

 

8일 제주지방법원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에서 진행된 법원 경매는 모두 6079건으로 2023년 3818건보다 약 60% 가까이 급증했다.

 

연간 경매 건수가 6000건을 넘어선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당시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여파가 국내에도 번지며 제주에선 8024건의 경매가 진행된 바 있다.

 

경매 물건이 늘어난다는 것은 부동산 시장에서 일반 매매로 해소되지 못한 물량이 쌓이고 있음을 뜻한다. 채무불이행, 대출금 상환 불능 등으로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가는 사례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경매에 부쳐진 전체 물건의 감정가는 모두 8244억원이다.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실제 낙찰로 이어진 금액은 4455억원에 불과했다. 평균 매각률은 23.3%, 매각가율은 54.0%에 그쳤다.

 

물건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 경매는 379건으로 2022년 147건보다 2.5배 이상 증가했고, 단독주택 경매도 같은 기간 131건에서 325건으로 약 세 배 가까이 늘었다.

 

하지만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낙찰은 쉽지 않다. 제주시 조천읍 와산리 한 2층 단독주택은 감정가 8억900여만원에서 경매가 시작됐지만 세 차례 유찰되며 최저 입찰가는 2억7700만원대까지 떨어졌다.

 

이 주택은 2023년 2월에도 한 차례 매각됐지만 낙찰자의 대금 미납으로 다시 경매 절차가 진행됐다. 현재는 유치권 외의 권리는 모두 소멸된 상태다. 전입 세대가 없어 명도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 서귀포시 표선면 한 전원주택은 감정가 8억2000만원에서 출발해 두 차례 유찰됐고, 현재 최저 입찰가는 4억원 수준으로 낮아졌다. 이 주택은 2층 구조로 창고와 정원을 갖춘 비교적 양호한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낙찰 후 대금 미납으로 다시 경매에 부쳐진 상태다.

 

제주도내 부동산 업계 관계자 김모씨(62)는 "금융비용 상승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 악화로 기업과 개인 모두 부동산을 지켜내지 못하고 경매로 넘어가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일부 실수요자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으나 경기 불확실성이 커 적극적인 매수로 이어지기엔 부담이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