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국내 첫 심해 잠수 탐사"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국내 최초로 심해잠수 기술을 이용, 제주도 인근 바닷속 60m까지 탐사해 한반도 미기록 생물 15종을 발굴했다고 19일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11년 11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실시한 ‘특수잠수기술을 이용한 미탐사 지역의 생물자원 조사·발굴(연구책임자 김사흥)’을 통해 갯가재류 1종, 십각류 14종 등 15종의 한반도 미기록종을 발굴했다.

 

탐사결과 발견된 한반도 미기록종은 공생생물 11종과 저서생물 4종 등 총 15종이며, 미기록속 3종과 미기록과 1종을 포함하고 있어 이들 서식처의 생물상이 낮은 수심과는 다른 것으로 파악됐다.

 

발견된 미기록종 중 공생성 무척추동물은 집게류 2종과 새우류 8종, 게류 1종 등 11종이며, 갯가재류 1종과 새우류 3종 등 4종은 바닥의 돌이나 부착생물 주변에 서식하는 종으로 확인됐다.

 

이번 발견으로 이종 생물의 공진화(여러 종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진화해 가는 것)를 확인할 수 있는 종 특이적(species-specific) 연구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종간 연관관계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중 집게류인 알로갈라테아 엘레강스(Allogalathea elegans) 새우류인 폰토이데스 안케리(Pontoides ankeri)와 오돈토조나 엔시세라(Odontozona ensifera)는 한국미기록속이며 게류인 쿼드렐라 코로나타(Quadrella coronata)는 한국미기록과인 트라페지데(Trapeziidae)로 확인됐다.

 

심해에서 이렇게 미기록종이 다수 발견된 것은 태양의 영향이 작고 수온이 연중 10∼15도로 일정해 얕은 바다와는 서식처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물자원관은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는 산업ㆍ군사 등의 분야에만 사용되던 잠수 기술이 도입됐다. 기존 연구용 잠수기술은 수심 30m가 한계였다.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는 잠수정을 이용한 연구가 가능했지만 30∼200m 지점은 사각지대로 남아있었다.

 

생물자원관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생물이 가장 많이 서식하지만 미탐사지역으로 남아있는 지역에서 바다의 생물 다양성을 연구하기 위한 시도"라고 말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