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2015년 제주시충혼묘지 일대 33만㎡ '국립제주호국원' 개원

제주지역 보훈가족들의 숙원인 국립묘지가 제주에도 조성된다.

 

제주도는 국가보훈처가 내년부터 2015년까지 363억원을 들여 제주시 노형동 산 19의 2(1100도로 인근 제주시충혼묘지) 일대 공유지 33만㎡에 국가유공자 유해 1만기를 안장할 수 있는 '국립제주호국원'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보훈처는 오는 11월 호국원 조성사업 실시설계 용역을 발주하고, 내년 하반기에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24일 제주도청에서 제주도와 국립제주호국원 조성사업에 협력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체결한다.

 

호국원에는 봉안당과 함께 현충관, 현충원, 관리동, 잔디광장 등이 들어선다.

 

 

보훈처는 오래전부터 호국원 조성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해당 부지가 제주도 소유인 탓에 현충관 등 영구시설물 설치가 불가능해 사업을 미뤄왔다. 국유지에 한해 영구시설물 설치가 허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다 기획재정부가 지난달 사업부지의 일부인 5만4500㎡와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1911 일대 국유지 2만876㎡를 교환하는 것을 승인함에 따라 도유지가 국유지로 전환돼 사업이 가능케 됐다.

 

이 일대는 지난 2011년 1월 10일 한라산국립공원 구역에서 해제됐다.

 

보훈처는 국립제주호국원을 국립현충원으로 승격해 참전유공자는 물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 국가사회 공헌자까지 안장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제주에는 현재 국립묘지가 없어 숨진 국가유공자들이 읍.면에 있는 14개의 충혼묘지나 가족묘지 등에 안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