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대학교가 대학 존폐 위기에 놓인 책임은 제주도에 있다고 주장했다.
박철훈 제주국제대 총장직무대행 등은 제주도의회에 '옛 탐라대 부지 매각 승인과 위탁기관 지정 관련 제주특별자치도의 불법 행정행위 실태조사 및 재발방지에 대한 청원서'를 제출했다.
청원서는 "올해 8월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2013학년도 정부재정지원 및 학자금 대출 제한 대학으로 지정되는 등 대학이 존폐 위기 상황을 맞게 된 것이 제주도가 책무를 망각하고 위법적인 행정 행위를 일삼는 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올해 5월 종전 교과부가 행사하던 사립대학에 대한 지도, 감독 권한이 제주특별자치도로 이관됐다"며 "제주도는 지난해 7월 교과부가 제주국제대학교 개교 조건으로 부과한 경영컨설팅 이행과제 중 ‘탐라대 부지 매각 승인 및 위탁기관 지정’과 관련해 관할청의 책무를 망각하고 매각 승인을 지연시킴으로서 결국 1개의 이행과제 미이행을 이유로 제주국제대가 지난 8월 교과부로부터 '정부지원제한 및 학자금대출 제한 대학'으로 지정돼 대학이 존폐의 위기상황에 이르게 됐다"고 대학 측은 주장했다.
청원서는 "제주도의회는 이 같은 제주도의 불법행위를 철저히 조사해 근절시키고 제주국제대가 선의의 피해를 당하는 부분을 막아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