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50을 일컫는 지천명(知天命). 제주의 도지사도 그렇거니와 소위 386세력으로 불리던 이들이 이제 지천명의 나이에 들어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 공자의 뜻대로라면 천명을 알 나이다. 하지만 그 천명(天命)은 또 무언지 도통 철학적 의문으로 다가오는 시기다. 중국문학 전문가인 이권홍 교수가 다시 지천명의 세상을 돌아봤다. 스스로가 이른 나이에 대한 자아성찰적 고심과 고민이다. 10여차례에 걸쳐 ‘지천명’을 풀이한다. /편집자 주 하늘의 뜻을 어떻게 알 수 있는 것인가? ‘배움(學)’에 있고 ‘살핌(省)’에 있다. 바로 자신의 노력에 의한 것이다. “아래를 배워 위에 달한다(下學而上達)”이다. 어떤 것인가? 아래로 ‘인간의 일’을 배우면서 위로 ‘천리’를 통달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주자(朱子)의 말이 새삼 마음에 다가 온다. “이 말씀의 뜻을 깊이 음미해 보면 이 가운데 진실로 사람들은 미처 알지 못하고 하늘만이 홀로 아는 묘(
나이 50을 일컫는 지천명(知天命). 제주의 도지사도 그렇거니와 소위 386세력으로 불리던 이들이 이제 지천명의 나이에 들어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 공자의 뜻대로라면 천명을 알 나이다. 하지만 그 천명(天命)은 또 무언지 도통 철학적 의문으로 다가오는 시기다. 중국문학 전문가인 이권홍 교수가 다시 지천명의 세상을 돌아봤다. 스스로가 이른 나이에 대한 자아성찰적 고심과 고민이다. 10여차례에 걸쳐 ‘지천명’을 풀이한다. /편집자 주 공자의 생각은 이렇게 추론할 수 있다. 우선 정치적으로 군주를 잘 보필하면 세상에 도가 실행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지고 철환천하(轍環天下)하였다. ‘예(禮)’가 실행되고 ‘인(仁)’이 베풀어지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정치에 투신하고자 수레를 타고 천하를 돌아다니며 자신의 사상을 받아들여지기를 희망하였다. 공자가 희망한 사회는 ‘예’가 행해지는 사회였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공자가 살았던 시대에 질서가 문란하여 왕이 왕답지 않고 제후 역시 제후답지 않은 세상이었기 때문이었다.
나이 50을 일컫는 지천명(知天命). 제주의 도지사도 그렇거니와 소위 386세력으로 불리던 이들이 이제 지천명의 나이에 들어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 공자의 뜻대로라면 천명을 알 나이다. 하지만 그 천명(天命)은 또 무언지 도통 철학적 의문으로 다가오는 시기다. 중국문학 전문가인 이권홍 교수가 다시 지천명의 세상을 돌아봤다. 스스로가 이른 나이에 대한 자아성찰적 고심과 고민이다. 10여차례에 걸쳐 ‘지천명’을 풀이한다. /편집자 주 ▲ 이권홍 논설위원/ 제주국제대 교수 중국은 운명론이 심각할 정도로 보편화돼 있다. 역사 또한 유구하다. 무신론자이며 천재라 평가받는 한(漢)대의 학자 왕충(王充)도 예외는 아니다. “무릇 사람들이 좋은 운을 만나거나 재해를 입는 것은 모두 운명에 따른 것이다”(凡人遇偶及遭累害,皆由命也.有死生壽夭之命,亦有貴賤貧富之命), “귀천은 명에 정해진 것이지 지혜와는 상관없다”(貴賤在命,不在智慧)(『論衡·命祿』)라고 한 것으로 보면 그 믿음의 정도가 얼마나 심각한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듯
나이 50을 일컫는 지천명(知天命). 제주의 도지사도 그렇거니와 소위 386세력으로 불리던 이들이 이제 지천명의 나이에 들어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 공자의 뜻대로라면 천명을 알 나이다. 하지만 그 천명(天命)은 또 무언지 도통 철학적 의문으로 다가오는 시기다. 중국문학 전문가인 이권홍 교수가 다시 지천명의 세상을 돌아봤다. 스스로가 이른 나이에 대한 자아성찰적 고심과 고민이다. 10여차례에 걸쳐 ‘지천명’을 풀이한다. /편집자 주 『주역』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樂天知命,故不憂.”(『易·系辭上』)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우주와 합일되어 생명의 가치를 아는 까닭에 근심이 없다”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하지만 글자 그대로 “하늘을 즐기고 명(命)을 아는 까닭에 걱정이 없다”라고 풀이를 하면 된다. 이런 관점이 시대의 주류를 이루었으니 성인 중의 성인인 공자도 ‘천(天)’과 ‘명(命)’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볼 수밖에. 사실 공자도 조짐[징조
나이 50을 일컫는 지천명(知天命). 제주의 도지사도 그렇거니와 소위 386세력으로 불리던 이들이 이제 지천명의 나이에 들어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 공자의 뜻대로라면 천명을 알 나이다. 하지만 그 천명(天命)은 또 무언지 도통 철학적 의문으로 다가오는 시기다. 중국문학 전문가인 이권홍 교수가 다시 지천명의 세상을 돌아봤다. 스스로가 이른 나이에 대한 자아성찰적 고심과 고민이다. 10여차례에 걸쳐 ‘지천명’을 풀이한다. /편집자 주 ▲ 이권홍 논설위원/ 제주국제대 교수 그렇다면 공자가 더불어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그래서 자공조차도 공자가 ‘성(性)’과 ‘천도(天道)’에 대해서 한 말을 들은 적이 없다(不可得而聞也)고 한 것일 터이다. 괴력난신에 대해 ‘불어(不語)’했다는 것은 언급하지 않았다는 말이지 말할 수 없었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알지 못했다는 말도 결코 아니다. ‘하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공자의 ‘천’사상은
나이 50을 일컫는 지천명(知天命). 제주의 도지사도 그렇거니와 소위 386세력으로 불리던 이들이 이제 지천명의 나이에 들어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 공자의 뜻대로라면 천명을 알 나이다. 하지만 그 천명(天命)은 또 무언지 도통 철학적 의문으로 다가오는 시기다. 중국문학 전문가인 이권홍 교수가 다시 지천명의 세상을 돌아봤다. 스스로가 이른 나이에 대한 자아성찰적 고심과 고민이다. 10여차례에 걸쳐 ‘지천명’을 풀이한다. /편집자 주 전환의 시기에는 인간에게 새로운 대응을 요구하기 마련이다. 중국사상 가장 커다란 변혁의 시대인 춘추전국시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제자백가(諸子百家)라는 학인(學人, 士)들이 출현하여 종래의 신(神) 중심의 주술적 세계관을 인간 중심의 이성적 세계관으로 대체시키면서 혼란한 시대에 새로이 대응하는 논리와 정신을 모색한다. 이런 과정에서 체계화된 사상이 완성된다. 제자백가의 사상은 중국사상사에 기본적인 내용과 골격을 제시하였다. 당시 문제에 대한 대응을 이해하는 데에, 그리고 중국사상 전체의 기본적인 성격을 이해하는 데에 필수불가결한 전제가 되었다. 이런 시대에 살았던 공자도 자기 나
나이 50을 일컫는 지천명(知天命). 제주의 도지사 당선인도 그렇거니와 소위 386세력으로 불리던 이들이 이제 지천명의 나이에 들어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 공자의 뜻대로라면 천명을 알 나이다. 하지만 그 천명(天命)은 또 무언지 도통 철학적 의문으로 다가오는 시기다. 중국문학 전문가인 이권홍 교수가 다시 지천명의 세상을 돌아봤다. 스스로가 이른 나이에 대한 자아성찰적 고심과 고민이다. 10여차례에 걸쳐 ‘지천명’을 풀이한다. /편집자 주 ▲ 이권홍 논설위원/ 제주국제대 교수 공자는 하늘을 창조자(創造者)로 보고 있었을까? 공자의 생존 시기에는 하늘을 창조자로 보았다 하는 이들이 있다. 『시경(詩經)』에서 그 단서를 찾는다. “하늘이 뭇 백성을 낳으시니(天生蒸民)”라는 말이 그것이다. 그리고 “하늘이 백성(百姓)을 낳고 임금을 세운다(天生民而樹之君)”(『좌전(左傳)』)는 뜻으로 임금을 내세움은 백성을 위한 것이라는 말에서 실마리를 찾는다. 여기에서 하늘은 직접 인간을 창조하는 절대자로 표현됐다고 하는 것이다. 부정하지는 않겠다. 분명
나이 50을 일컫는 지천명(知天命). 제주의 도지사 당선인도 그렇거니와 소위 386세력으로 불리던 이들이 이제 지천명의 나이에 들어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 공자의 뜻대로라면 천명을 알 나이다. 하지만 그 천명(天命)은 또 무언지 도통 철학적 의문으로 다가오는 시기다. 중국문학 전문가인 이권홍 교수가 다시 지천명의 세상을 돌아봤다. 스스로가 이른 나이에 대한 자아성찰적 고심과 고민이다. 10여차례에 걸쳐 ‘지천명’을 풀이한다. /편집자 주 그럼 ‘천명’이란 무엇인가? 사전적으로 “우주만물을 지배하는 하늘의 명령이나 원리, 또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가치를 가리키는 말”이라고 풀이한다. 더 간단하게 풀어보면 ‘천명(天命)’이란 그냥 글자 그대로 ‘하늘의 명령’일 테고 우리말로 ‘하늘의 뜻’이라고 하면 더 친근하게 다가온다. ‘천(天)’을 굳이 하느님이라 풀이할 필요는 없다. ‘하늘’이면 다 이해가 될 것이기에. 우리가 쓰는 하늘이란 말에는 공간적 개념도 있고 하느님의 개념
나이 50을 일컫는 지천명(知天命). 제주의 도지사 당선인도 그렇거니와 소위 386세력으로 불리던 이들이 이제 지천명의 나이에 들어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 공자의 뜻대로라면 천명을 알 나이다. 하지만 그 천명(天命)은 또 무언지 도통 철학적 의문으로 다가오는 시기다. 중국문학 전문가인 이권홍 교수가 다시 지천명의 세상을 돌아봤다. 스스로가 이른 나이에 대한 자아성찰적 고심과 고민이다. 10여차례에 걸쳐 ‘지천명’을 풀이한다. /편집자 주 공부가 직업인지라 한 단어나 어떤 개념에 얽매여 헤어나지 못할 때가 많다. 그중 공자(孔子)가 50세가 되어 알게 됐다는 ‘천명(天命)’이란 개념이 현재 나를 속박하고 있다. ‘지천명’이란 공자가 말년에 스스로 뒤돌아보며 자신의 삶을 정리하면서 내뱉은 말이다. 과연 공자가 말한 ‘천(天)’은 무엇이고 ‘명(命)’은 무엇일까? ▲ 논어 내 나이도 얼추 비슷한데. 왜 나는 이 말을 감득하지 못할까? 실로 ‘명(命)’이란 운명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