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성부(雙城府) 관방의 개방(丐幇) '걸개처(乞丐處)' (1)

  • 등록 2025.02.19 13:41:53
크게보기

이권홍의 '중국, 중국인' ... 중국의 거지 (44) 거지에게 사기 치는 염왕전(閻王殿)

일반적인 상황에서 거지 항방(行幇)은 모두 민간 비밀집단이었지만 예외적으로 관청이 경영하는 개방도 있었다. 옛날 흑룡강(黑龍江) 쌍성부(雙城府)의 ‘걸개처(乞丐處)’가 관방의 개방이다.

 

옛날에 쌍성부 서남 모퉁이에 부익장(富翼長)이라는 거리가 있었다. 그 거리에는 산병홍(傘屛紅) 대문이 있었고 대문에는 금색 문자로 쓴 ‘쌍성부 걸개처’라는 간판이 세워져 있었다. 그곳이 청나라 말기부터 민국을 거쳐 만주국 14년(1945)까지 약 반세기 가까운 기간 동안 떠들썩했던 쌍성부 관청이 경영했던 개방의 소재지였다.

 

외원에는 동서로 곁채 초가집 5동이 있었다. 처마가 낮고 종이 창문으로 돼있는 일명량암(一明兩暗)1) 형태였다. 실내 맞은편에 있던 온돌이 거지들의 숙식처였다. 문을 들어서면 정면의 해청방(海靑房) 5칸이 있었고 동서로 각 2칸이 배치되어 있었다. 모두 기둥과 대들보를 채화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었다. 거지처의 단두(團頭)가 머무는 곳이었다.

 

명의상에는 유랑하는 거지를 맡아 기르는 자선단체라 되어있지만 사실상은 항방(行幇)이라는 수단으로 거지에게 사기 치는 그야말로 염왕전(閻王殿)이나 다름없었다.

 

거지가 거지처에 들어가면 단두의 부하 아닌 부하, 노예나 다름없었다. 노역 하면서 욕 듣고 매 맞았다.

 

단두의 권위는 ‘간아(杆兒)’〔타구봉(打狗棒)〕를 가지고 상징으로 삼았다. 2척 길이의, 위에는 검은색, 아래는 붉은색으로 되어 있는 몽둥이였다. 몽둥이 끝에는 가죽 채찍이 묶여있었다. 그것을 근거로 관리가 거지를 관리하면서 관방에서 직접 파견된 특별한 개방 방주가 되었다.

 

거지의 식량은 화명책(花名冊)을 근거로 매월 상회에서 1인 1두 수수쌀〔고량미(高粱米)〕을 공급했다. 의복은 매년 군경에서 반납, 폐기하는 낡은 의복 중에서 골라 썼다.

 

땔나무는 성문 4곳에 파견되어 지키는 거지가 성으로 들어오는 땔감 파는 사람의 짐이나 수레에서 뽑아 가졌다. 가장 많은 시기는 한 계절에 수천 다발이나 모을 수 있었다.

 

단두가 거지에게 버려진 시체나 사형수 시체를 염하고 매장하는 일에 노역하도록 할 때에는 관례대로 상회에서 별도로 비용을 발급하였다. 그러나 그런 수입은 거지에게 돌아가지 않았다. 많은 부분을 단두가 개인적으로 착복하였다.

 

이외에도 단두에게는 매년 음력 정월 15일 대보름날과 부잣집에서 혼례나 장례를 거행할 때에 관례대로 뭉칫돈이 들어왔다. 정월 15일 전후 3일 전통 대보름 기간에 단두는 ‘등관(燈官)’을 맡아 등을 걸지 않은 상점에 벌금으로 양초, 원소(元宵) 등을 받았다. 한 번에 수천 가치나 되는 물품을 걷을 수 있었다. 동시에 ‘등관녀’〔등관양자(燈官娘子)〕로 분장하여 ‘창기의 빚’〔표장(嫖帳)〕을 요구한다며 점포에 ‘구상(求償)’ 명목으로 돈을 요구하였다.

 

부잣집에서 혼례나 장례가 거행될 때면 단두의 ‘간아’(타구봉)를 문 옆에 걸어두고 거지가 와서 구걸하지 못하도록 했고 그에 따른 하루 노임을 계산해 단두에게 사례금을 납부하도록 했다.

 

큰일을 하면서 거지를 고용해 의장을 들도록 했다면 단두가 얻는 사례금은 더 많았다. 그러한 수입 대부분은 거지에게는 돌아가지 않았다. 모두 단두의 소유로 귀속되었다.

 

거지처가 거둔 거지는 상회에서 규정한 음력 매월 초하루, 보름 이틀 동안만 거리에 나가 구걸하였다. 그날이 규정대로 행하던 거지에게 돈을 지불하는 날이었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1) 중국 가옥의 방 배치의 하나로 한 동(棟)이 세 칸으로 되어 있으며 외부로의 출입구는 중앙의 칸 ‘당옥(堂屋)’에만 있고, 양 곁의 칸 ‘이옥(里屋)’에서는 중앙의 칸을 통하여 출입하게 되어 있는 구조의 집이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나와 대만 국립정치대학교 중문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으로 『선총원(沈從文) 소설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한자풀이』,『제주관광 중국어회화』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중국어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권홍 제주국제대 교수 lee@jeju.ac.kr
< 저작권자 © 제이누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3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원노형5길 28(엘리시아아파트 상가빌딩 6층) | 전화 : 064)748-3883 | 팩스 : 064)748-3882 사업자등록번호 : 616-81-88659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제주 아-01032 | 등록년월일 : 2011.9.16 | ISSN : 2636-0071 제호 : 제이누리 2011년 11월2일 창간 | 발행/편집인 : 양성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성철 본지는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Copyright ⓒ 2011 제이앤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nuri@jnur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