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5.6℃
  • 구름많음강릉 17.8℃
  • 구름많음서울 16.5℃
  • 흐림대전 17.9℃
  • 구름많음대구 19.4℃
  • 구름많음울산 18.4℃
  • 구름조금광주 18.2℃
  • 구름조금부산 17.2℃
  • 구름많음고창 17.8℃
  • 제주 16.3℃
  • 흐림강화 12.2℃
  • 흐림보은 16.4℃
  • 흐림금산 17.8℃
  • 구름많음강진군 17.5℃
  • 구름많음경주시 18.9℃
  • 구름많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SNS 통한 유통·공항 밀반입 급증 … 청소년·유흥업소·의료기관까지 단속 확대

 

마약 범죄가 제주를 포함한 전국 곳곳으로 확산되자 정부가 마약류 유통과 오·남용을 차단하기 위한 '범정부 특별단속'에 돌입했다.

 

정부는 16일 경찰청·검찰청·법무부·식약처·국정원·해양경찰청·관세청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이날부터 오는 6월 15일까지 2개월간 마약류 특별단속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단속은 ▲해외 밀반입 ▲국내 유통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 등 세 부문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공항과 항만에서는 마약 반입 차단을 위해 3단계에 걸친 정밀 검색이 강화된다. 입국 심사 전 단계에서 X-ray 검색기와 밀리미터파 탐지기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마약류 은닉 여부를 면밀히 확인할 계획이다.

 

제주지역에서도 마약 범죄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2월 23일 말레이시아 국적의 A씨(41·여)는 필로폰 약 2120g을 침대보, 신발 밑창, 과자 등에 숨겨 제주국제공항을 통해 반입하려다 적발됐다. 다음 날인 24일에는 필리핀 국적의 B씨(22·남)가 2944g의 필로폰을 커피믹스 포장에 위장해 입국했다가 붙잡혔다.

 

마약을 둘러싼 폭행 사건도 발생했다. 지난해 7월 제주시 한 오피스텔에서는 20대 여성 두 명이 마약 구입비 문제로 다투다 경찰에 입건됐다. 2022년 8월에는 C씨(30대·남)가 제주시내 모텔에서 미성년자와 만나 대마초와 케타민을 투약한 사실이 드러났다.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도내 마약류 사범은 2021년 46명에서 2023년 151명으로 3년 새 3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2023년에는 청소년 7명, 20대 43명이 마약 범죄로 적발돼 젊은 층 중심의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단속 기간 동안 클럽과 유흥주점 등 취약 지역에 경찰과 지자체, 검찰 인력을 집중 투입한다. 적발 시 유통 조직까지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에 대한 점검도 병행된다. 프로포폴, 졸피뎀, 메틸페니데이트(ADHD 치료제) 등 주요 마약성 의약품의 처방 급증 사례에 대해 의료기관 단속이 강화된다.

 

국무조정실은 "국민의 일상을 위협하는 마약류 범죄가 더 이상 확산하지 않도록 각 기관의 수사·행정역량을 총동원할 예정"이라며 "유기적인 공조를 통해 밀수·유통조직 검거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