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비상급수 자원이 관광개발용? … "신설정수장, 사실상 애월포레스트 전용 시설"

 

제주 애월포레스트 관광단지 개발과 맞물려 상수도 공급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제주도가 해당 단지에 하루 3000톤이 넘는 물을 공급할 방안을 마련 중이지만 현실적으로 주민용 비상보충수 전용 가능성이 제기되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15일 제주도와 관계 기관에 따르면 도는 서부지역 관광단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어음정수장 신설을 수도정비 기본계획에 포함시킨 바 있다. 해당 정수장은 하루 8800톤의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계획됐다.

 

하지만 기본계획을 보면 어음정수장의 용량은 ▲기존 마을 상수도 수요 5800톤과 ▲비상시 보충용 예비 자원 3000톤을 기준으로 설정됐다. 여기에 최근 애월포레스트에 투입될 3100톤 가량의 수요가 추가되면서 전체 수요가 약 1만2000톤 규모로 늘어나 정수장 용량을 초과하게 되는 상황이다.

 

문제는 정수장 용량을 초과한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결국 비상보충용 지하수나 마을 상수도 일부가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하지만 마을 상수도는 주민 기본생활용수인 만큼 조정이 어려워 실질적으로는 비상보충수를 관광단지에 전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도2동을)은 이에 대해 "결과적으로 비상용 지하수를 상시 개발지에 사용하는 것은 신규 관정 개발과 다르지 않다"며 "어음정수장이 사실상 애월포레스트 전용 시설로 전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도는 현재까지 해당 공급 방식이 확정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내놓고 있으나 구체적 대안이나 최종 계획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대신 장기적으로는 동부지역에 추가 정수장을 건립하고, 수계 전환 방식으로 어승생정수장의 물을 서부로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상태다.

 

제주도 상하수도본부 관계자는 "동부 정수장에서 일정량을 서부로 보내는 수계 전환이 이뤄지면 대규모 개발에도 큰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도는 2017년 극심한 가뭄으로 35일간 제한급수 조치를 시행한 전례가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관광단지 용수 확보를 위해 예비 자원을 활용할 경우 사실상 신규 지하수 개발과 다를 바 없다는 비판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