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시절들 - 무스타파 괵첵(Mustafa Gökçek) 공허한 것을 쫓아다니던 지나간 나의 시절들과 청춘 슬픔으로 자신을 위로하며 총상이 아니라 마음의 아픔인데 친구로 여겨왔던 내 실루엣은 나를 놔두고 나는 나 자신을 찾으러 가고 있어 부서지지 않는 벽이었다면 의지했을까? 내 인생의 작은 구슬 하나인데 내 앞에 검은 연기가 안개처럼 자리 잡았고 불 속에는 치유되지 않는 상처가 있어. 나는 좌절하며 뒤돌아보고 있어 내 시절들은 멀리 떠나 부드러운 바람처럼 빗방울들이 떨어져도 내 눈은 젖지 않네 나는 하늘의 구름 같지, 황량하게 버려진 내 손에는 한 줌의 눈이 있고, 산에서는 강풍이 불어오네 갑작스레 찾아온 사막 폭풍우 속에서 체험했던 낙원 세월…. 내 세월은 돌이킬 수 없는 소용돌이와 같아. 나의 유일한 위로는 깨진 거울이지, 내가 볼 수 없는. 나는 그저 행인처럼 방향을 모르는 바람이지. 향기 없는 장미, 억압자의 길에 있는 자갈이지 MY YEARS (Mustafa Gökçek) Years that I stare into the void after, My passing years and youth I console myself with my sorrow
‘제주4·3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기원 음악회’가 오는 20일 제주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열린다. 한국음악협회 제주도지회가 주최·주관하고 제주도가 후원하는 이번 공연은 4·3희생자와 유족을 위로하고 제주4·3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대한 도민 및 국민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공연은 제주4·3 및 제주와 관련된 음악 위주로 이뤄진다. 별도의 예매 없이 선착순으로 무료 관람할 수 있다. 제주4·3평화합창단의 ‘상록수’를 시작으로, 소프라노 오능희, 제주 출신 재즈피아니스트 김한얼, 제주 출신이자 서귀포시 홍보대사로 활동 중인 문희경 등이 출연한다. 마지막 곡으로 ‘아름다운 나라’를 모든 출연진과 관객이 함께 부르며 4·3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 등재를 기원한다. 한편, 제주도는 4·3기록물 등재 당위성에 대한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온·오프라인으로 ‘4·3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오능희 한국음악협회 제주도지회장은 “제주가 걸어온 화해와 상생의 역사가 전 세계인들의 가슴을 물들일 수 있도록 문화예술의 울림을 통해 알려나가겠다”고 전했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김현정(28·여) 작가는 자폐스팩트럼 장애인이다.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그림그리기를 시작하면서 중앙여중 3학년 때 첫 개인전을 열었다. 이후 사대부고를 졸업하고, 제주한라대 산업디자인학과 4년을 다니면서 두 번의 개인전을 가졌다. 졸업과 동시에 사회적협동조합 희망나래에 취업했다. 이후 직장생활을 하면서 산업디자인학과에서 익힌 디지털 드로잉으로 공동 전시회에 참여했다. 김현정 작가는 오는 20일부터 30일까지 설문대여성문화센터에서 다섯번째 개인전 '‘home, sweet home; 나의 살던 고향은...’을 연다. 사회적협동조합 희망나래가 후원한다. 김 작가는 현재까지 살아오면서 가족과 이웃에게 받은 사랑을 캄보디아 뜨라핑크라상 초등학교 학생에게 베풀기 위해 티셔츠에 작업했다. 뜨라핑크라상 초등학교는 제주YMCA 국제장학봉사위원회에서 2018년도 캄보디아 프놈펜에 건립한 학교다. 김 작가의 가족들이 함께 하고 있다. 김현정 작가는 "제주의 꽃들과 돌, 그리고 초원의 말들을 소재로 28년 동안 추억의 조각들을 모아 어느 한 곳에 머물러 있지 않고, 어디든 함께 동행 할 수 있는 티셔츠로 소통하고자 한다"며 "이 작은 마음이 제주와 캄보디아, 그리고 장애인과 비
여기 멈춰 서서 보라 - 소우라브 사르카르(Sourav Sarkar) 여기 멈춰서, 여기 멈춰서 보라 먼 나라에서 귀향하는 구름의 움직임을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그런 기적을 구름은 서로 다른 나라로 옮겨 다니지 사막, 바다와 호수에서, 자연의 수증기에서 태어난 구름, 그들은 천상 기쁨의 반구형 지붕을 만들어 내지 하늘을 살펴보기 위하여 여기 서서 보라, 상상하지 못했던 공간을 여기에 멈춰 서서 구름과 언덕을 바라보라 그대는 인생에서 너무 서두르지 마라 그대는 바라볼 맑은 하늘이 있으며, 초록색 소나무 숲이 있잖은가 확실하게 Stop here (By Sourav Sarkar) Stop here, stop here to see Moving clouds as they are returning home from far countries, Have you ever dreamt of such Miraculous idea? Cloulds move from one to another country. Clouds born out of deserts, waterbodies, steams of nature, They build a dome of heavenly pleasure
망명자 - 듀산 고이코프(Dušan Gojkov) 내 선조들은 12세기에 자신들의 고향을 떠나 북쪽으로 도망쳤지 자신들의 생각과 말하는 방식을 싫어하는 사람들로부터 내 선조들은 15세기에 새로운 고향에서 떠나 동쪽으로 도망쳤지 17세기에도 다시 떠나 남쪽으로 도망쳤어 자신들의 생각과 말하는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들로부터 도망쳤지 내 선조들은 19세기에는 다시 서쪽으로 도망쳤지 그들은 자신들의 생각과 말하는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들로부터 도망쳤어 나는 20세기에 태어났어. 내가 거주했던 나라는 37개국이야 내가 사용하던 언어는 더는 존재하지 않지만, 대신 4개의 언어가 생겼어. 하지만 이제는 아무도 더는 내 생각이나 말하는 것에 신경을 쓰지 않지! 그리고 그동안 집은 어디론가 사라졌지. [번역=강병철 작가] Refugee (Dušan Gojkov) In the twelfth century my ancestors had to leave their home and fled north from people who didn’t like how they thought and how they speak In the fifteenth century my an
히말라야의 아침 - 럽싱 반다리(Rupsingh Bhandari) 매일 아침 히말라야가 출산할 때 태양에게 비명을 지르지 않으며 붉은 파노라마 전경이 펼쳐진다 아찔한 순백의 절정에서 그림자는 내게서 사라지고 노래한다…소리 없는 신비한 노래 나도 불꽃 속에 있다. 창조의 기념식이… 매일 아침 천천히 사라져 향의 재로 히말라야의 제단에서. 히말라야에서 반사된 붉은 빛 모든 나무는 립스틱을 바른 듯 망설임 없이 협곡과 구름 덩어리들 고요한 계곡에 불평 없이 순응하네. 청춘의 강… 새는 나뭇가지에서 날갯짓하며… 그들의 작은 날개로 거대한 산으로 날아가네. 들꽃으로 뒤덮인 들판 위로 하늘이 펼쳐진다. 히말라야의 따뜻함으로 산들바람이 불어가며 은밀한 움직임이 느려지네 나도 민들레 씨처럼 떠오르고 하나씩 떨어지며 내부에서 멀리 매일 아침 점점 나를 잊고 히말라야가 되네 태양에게 비명을 지르지 않으며 히말라야가 태어날 때 붉은 파노라마 전경이 펼쳐진다 아찔한 순백의 절정에서 Himalaya’s Morning (Rupsingh Bhandari) Every Morning When Himalayas gives birth To sun without screaming Bleedin
한국사진기자협회 제주도사진기자회가 오는 31일부터 다음달 6일까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1층 전시실에서 '2022 보도사진전'을 연다. 이번 전시는 코로나19 사태로 2020년 이후 3년 만에 열린다. 제주도사진기자회 소속 기자 6명은 이번 전시에서 지난해 제주 곳곳을 누비며 취재한 사진 150여 점을 선보인다.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전면 개정에 따라 이뤄진 역사적인 첫 직권재심과 무죄 선고 순간, 6·1 지방선거, 한림항 어선 폭발 사고 등 2022년을 뜨겁게 달군 현장이 앵글에 담겨 선보인다. 또 제주의 아름다운 풍광과 자연생태, 도민의 잔잔한 일상을 촬영한 사진도 내걸린다. 고봉수 회장은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되면서 도민과 함께하는 보도사진전을 다시 열게 됐다"며 "올해도 역사의 기록자로서 사명감을 가지고 현장을 꿋꿋이 지키겠다"고 말했다. 한국기자협회 제주도사진기자회 소속 언론사는 연합뉴스, 뉴스1, 뉴시스, 한라일보, 제주일보 등 5개사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제주MBC 4.3특별기획 ‘남겨진 아이들’(5부작)이 오는 31일까지 매일 오전 8시 30분 MBC 방송과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된다. ‘남겨진 아이들’은 4.3 당시 군사재판으로 하루아침에 부모를 잃고도 살아 남아야했던 수형인 유가족들의 한 맺힌 사연을 조명했다. 또 직권재심 재판을 통해 4·3 당시 이뤄졌던 군사재판의 불법성과 직권재심의 역사적 의미를 되짚어 본다. 4·3 당시 한 살이었던 강서경 할아버지는 12살이 돼서야 함께 살던 아버지가 자신의 친아버지가 아니리는 사실을 알게됐다. 그 후 집을 나와 아버지를 찾기 위해 방황했다. 그 후 40년간 친아버지를 애타게 찾은 강 할아버지는 1999년께 아버지가 4·3 당시 불법 군사재판을 받고 대전형무소에서 수감 생활을 하다 한국전쟁 발발 후 학살당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의 아버지는 지난해 12월 직권재심을 통해 무죄판결을 받았다. 특집 방송은 강서경 할아버지의 ‘골령골’ 편 등 수형인 유가족 4명의 가슴 아픈 사연과 직권재심을 맡았던 검사와 판사 인터뷰를 담은 ‘연대’편 등 10분짜리 5편으로 구성됐다. 5편의 영상을 옴니버스 형식으로 묶은 50분 특집 방송은 다음달 4일 오후 11시 30분 MBC
KCTV 제주방송이 오는 30일 제주4·3 75주년을 맞아 특별기획 ‘사슬’을 방영한다. 사슬은 부모가 4·3과 연관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폭도, 빨갱이라는 사상적 낙인이 찍혀 연좌 피해를 겪어야 했던 2세대들의 사연을 조명했다. 제작진은 4·3이 끝난 후에 남겨진 가족에게 가해진 사찰과 직업 피해, 더 나아가 가족공동체 해체, 인권 탄압으로 이어진 실상을 영상에 담았다. 또 연좌제의 굴레를 벗어나기 위해 전쟁터로 뛰어들고 일본으로 밀항해야만 했던 유족들의 사연을 담았다. 특히 연좌제가 행해졌다는 증거로 볼 수 있는 경찰의 ‘밀항삭재카드’를 도내 언론사 첫 공개한다. 밀항삭재카드는 4·3 당시 일본 등으로 밀항했던 이력이 있는 도민을 별도로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나이와 직업, 재산은 물론 사상과 성향까지 기재됐다. 경찰은 가족이나 친척이 4·3과 관련돼 있을 경우 이 카드를 통해 요시찰 대상으로 분류해 놓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제작진은 "'사슬'은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은 누구나 당했을 연좌제 피해가 결코 사소한 것이 아니며 피해의 진실을 밝히는 것이 진정한 과거사 정리와 4·3의 완전한 해결로 나아간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30일 첫 방송
손자에게 보내는 편지 - 타릭 귀너셀(Tarık Günersel) 인간관계에서 매일 유익한 시간을 보내도록 해라 자연과 연민과 노동으로. 발전하기 위해 자신을 보호하고,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계발하라 강력해지려고 노력한다는 것은 약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성공하려고 애쓰면 성공하기가 더 어렵게 된다. 꽃이 피려고 애쓰던가? ‘그냥’ 피어난다. 창의성에는 욕심이 필요하지 않다. 열정이면 충분하다 고통과 슬픔은 필요하지 않다. 삶의 기쁨이면 충분하다. 겸손하면 쓸데없는 힘을 쏟지 않아도 된다 그래서 열매를 맺는 데 도움이 된다 긍정적인 한계를 택하거라 고요한 바다가 깊은 법이다 불평하지 말고 다가가라 떠나는 자는 버림받는다 그러나 필요할 때는 혼자가 되라 과도기가 무가치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감각을 과소평가하면 온전히 살 수 있을까? 직관이 막히면 이해력이 풍부해질 수 있을까? 인생의 모든 것을 세세히 설명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 노력은 즐겁고 무익하지 않다. 무한한 지평선이란 무엇인가? 비판적 상상력 – 지식과 함께. 그러나 '지식'은 일반적으로 추측이다. 무식하고 무능한 대통령보다는 세련된 '평범한 사람'이 되어라. 믿음은 지식이 아니다. 어떤 유산을 세
제주4·3 제75주년을 맞아 4‧3문학의 거장 김석범·김시종 작가 특별전이 열린다. 4‧3문학 특별전 ‘김석범‧김시종 – 불온한 혁명, 미완의 꿈’은 오는 24일부터 6월 30일까지 제주문학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린다. 이번 특별전은 재일조선인 작가 김석범과 김시종의 문학세계를 조명하는 자리로, 4·3문학의 어제와 오늘, 미래를 조망하기 위해 기획됐다. 김석범은 대하소설 '화산도'로 1983년 아사히신문 오사라기 지로상과 1998년 마이니치 예술상을 받았다. 제주4·3평화재단 등이 수여하는 제1회 제주4·3평화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김석범은 1957년 소설 '까마귀의 죽음'을 시작으로 '땅 밑의 태양', '과거로부터의 행진' 등 제주4·3의 진실을 탐구한 작품들을 발표했다. 김시종은 1986년 '재일의 틈새에서'로 마이니치 출판문화상과 1992년 '원야의 시'로 오구마히데오상 특별상, 2011년 '잃어버린 계절'로 다카미준상을 받았다. 김시종 역시 1955년 소설 '지평선' 발표 이후 제주4·3의 진실과 재일제주인의 정체성을 탐구했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김석범의 '화산도' 일본어 초판본과 김시종의 '이카이노 시집' 서명본 등이 전시된다. 또 김석범‧김시종 작가의
제주해녀 3대 가족이야기를 다룬 영화 '숨비소리'가 제작된다. 제주도는 영화 제작사 원더필름이 2개월간 제주시 구좌읍과 한경면 등 제주 일원에서 제주해녀를 다루는 영화 '숨비소리'를 촬영한다고 17일 밝혔다. 숨비소리는 해녀가 물에 떠오를 때 내뱉는 숨소리를 뜻한다. 영화 숨비소리는 제주의 거친 바다를 생업의 터전으로 삼아 살아가는 제주해녀 3대의 삶을 다룬다. 영화의 대부분이 제주도 일대에서 촬영된다. 2015년 제20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선재상'을 받은 이은정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또 넷플릭스 드라마인 '수리남'의 프로듀서를 지낸 제주 출신 오현암 PD가 제작에 참여한다. 영화의 주연은 드라마 '술꾼도시여자들'에서 뛰어난 연기력을 선보인 배우 이선빈이 맡았다. 이선빈은 3대 해녀 중 손녀 구해진 역을 맡아 고뇌하는 청춘의 모습을 연기한다. 제주도는 영화 촬영을 위한 주요 촬영지 섭외, 어촌계 어선 사용 등을 지원한다. 또 해양경찰 등 유관기관에서도 영화 촬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 협력할 방침이다. 정재철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유네스코에 등재된 제주해녀 문화의 독창성을 국내외에 알릴 수 있도록 해녀를 소재로 한 영화와 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