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교육행정질문에서 현정화 의원(새누리당·비례대표)은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대해 응답자 64%가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반대했고, 찬성은 34.5%에 불과했다"며 "학생들과 일선 교직원들도 통폐합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현 의원은 "다만 본청과 교육지원청 교직원들은 통폐합 찬성의견이 높게 나타나, 정책집행주체와 일선 학생과 교직원들의 인식차가 극명하게 갈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 의원은 "도내 유초중고교의 31.7%가 서귀포 관내에 소재하고 있는 반면 학생 수는 도내 학생의 23.8%에 불과하다"며 "차후 학생 수용을 예측할 수 있는 유치원의 경우 38.% 가량 서귀포 관내에 소재하고 있지만 유아 수는 16.3%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양성언 교육감은 "최근 언론에 보도된 소규모학교 통폐합과 관련한 반대의견이 찬성의견보다 2배 가까이 높게 나온 것은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대한 설문내용이 '예산절감을 위한 학교 통폐합 대 마을공동체 학교 유지 기능'으로 설문한 결과"하고 설명했다.
양 교육감은 이어 "하지만 제주도교육청은 예산절감이 아닌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차원에서 학교통폐합을 추진하고 있다"며 "학생들의 학습권보장 차원의 학교선택권 중심으로 설문을 했다면 비율이 일정부분 달라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양 교육감은 또 "교육현장과 행정간 의견차를 좁히기 위해 지역교육청과 함께 교직원과 학생들 대상으로 우선 홍보·설득하는 의사소통의 가회를 마련하고 다음단계로 학부모와 지역주민을 설득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 교육감은 "소규모학교 통폐합은 마을의 구심점으로서 학교가 있어야 한다는 어른들의 논리에서 벗어나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환경에서 정상적인 교육과 특성화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함"이라며 "아이들 입장에 서서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양 교육감은 "산남지역에 대한 중장기적인 학교통폐합 추진에 대해 앞으로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제주도청과 협력해 대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