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관광지 바가지 요금 논란으로 곤욕을 치렀던 제주도가 최근 지역 축제에서 유사한 논란이 재발하자 강도 높은 대응책을 내놓았다. 지난 29일 제주시 전농로에서 열린 왕벚꽃축제 먹거리 부스 중 일부에서 순대볶음 6조각을 2만5000원에 판매했다는 사실이 SNS를 통해 알려지며 바가지 논란이 불거졌다. [스레드 캡쳐]](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414/art_17435643528984_e99646.jpg)
지난해 관광지 바가지 요금 논란으로 곤욕을 치렀던 제주도가 최근 열린 벚꽃 축제에서 '6조각 순대 2만5000원' 논란<본지 3월31일자 보도>이 불거지자 강도 높은 대응책을 내놓았다.
제주도는 올해 열리는 지역축제 음식 부스에 가격표 게시를 의무화하고, 메뉴판에 음식 사진을 넣거나 음식 샘플을 부스 앞에 비치할 것을 강력 권고한다고 2일 밝혔다. 이는 불투명한 가격 정보로 인한 소비자 불만을 줄이기 위한 조치다.
또 축제장 내에는 바가지 요금 전담 신고센터를 운영하는 상황실을 설치해 현장 대응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더불어 지역 상인들을 대상으로는 과도한 요금 청구나 끼워팔기 등 불공정 행위와 위생·친절 교육도 병행하기로 했다.
도는 특히 축제 기간 중 바가지요금이나 불공정 행위 등으로 사회적 논란이 발생한 경우, 이후 축제 평가에 ‘페널티’를 부여하는 제도도 도입한다. 이 페널티가 누적되면 지정 축제에서 제외되거나 보조금이 감액되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조치는 최근 제주시 전농로에서 열린 왕벚꽃축제 먹거리 부스 중 일부에서 순대볶음 6조각을 2만5000원에 판매했다는 사실이 SNS를 통해 알려지며 바가지 논란이 불거진 데 따른 것이다. 해당 게시글에는 가격표가 없거나 결제 이후 가격을 알게 되는 등 소비자 불신을 야기한 현장 상황도 함께 전해졌다.
현장에서 만난 도민 정모씨(33·여)는 "제주를 찾은 지인들에게 '축제니까 즐기라'고 했는데 바가지 가격 때문에 얼굴이 화끈거렸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먹거리 부스 관계자는 "도정이 물가를 잡겠다고 하는데 축제장만 가면 전혀 그런 기조가 느껴지지 않는다"며 "이미지를 살리려면 형식적인 캠페인보다 현장 단속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제주도는 "이러한 대책들을 통해 지역 축제의 신뢰도를 높이고, 관광객들이 안심하고 즐길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지난 제주시 전농로에서 열린 왕벚꽃축제 먹거리 부스 중 일부에서 가격표를 부착하지 않고 음식을 판매하고 있다. [제이누리 DB]](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414/art_17435643524562_4ae32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