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제주자연의벗 '생태환경 기획' ... 제주고사리삼과 선흘곶자왈 (3)

 

제주자연의벗은 지난 6월 창립총회에서 일반 시민과 회원의 뜻을 모아 제주의 생물대표로 세계에서 하나밖에 없는 제주고사리삼(학명 : Mankyua chejuense)을 공동대표로 선출했다.

 

제주자연의벗 공동대표인 제주고사리삼은 어떻게 생긴 식물일까? 2001년 제주고사리삼이 세상에 처음 알려진 이후 연구자들에 의해 논문, 사진 등을 통해 제주고사리삼의 생태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식물이 살아가는 모양이나 상태, 즉 제주고사리삼의 생태는 어떤 모습일까? 연구자들의 논문과 직접 관찰한 것을 토대로 여러 가지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주고사리삼은 세계적으로 속(genus) 자체가 우리나라 제주도 동북지역 곶자왈에만 분포하는 특산속 식물이다. 이 종은 제주대학교 김문홍 교수가 1996년 10월 당시 북제주군 구좌읍 묘산봉 인근에서 채집한 것이 최초이다.

 

그 후 수차례 조사와 연구를 통해 2001년 11월에 전북대학교 선병윤 교수 등 4명의 식물학자들이 세계 최고 권위의 식물분류학잡지인 택손(Taxon)지에 ‘고사리삼(고사리삼과) : 대한민국 제주도산 새로운 속 양치식물’이란 논문을 게재함으로써 국제학회에 공식보고하게 되었다.

 

제주고사리삼의 학명은 양치식물 연구의 거두인 박만규 전 고려대 교수와 제주도의 이름을 따 ‘만규아 제주엔세’(Mankyua chejuense)로 명명된 것이고, 영명은 Cheju-gosari-sam이다.

 

특히 이 식물은 종 수준이 아니라 속(屬) 수준에서 새로운 것으로 분화한 양치식물이라는 점에서 세계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신속(genus) 및 신종(species)으로 Taxon지를 통해 학계에 알려진 이후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학술적 가치, 희귀성, 절멸 위협과 종의 보존 등의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다(Sun, 2002; Kim, 2004).

 

또한 백(2003)에 의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Kim(2004)에 의한 보전현황 연구, 2005년에는 자생지 조사를 통하여 개체의 크기가 작고 주변 환경의 변화에 취약하며, 자생지가 매우 협소하여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최근 Ⅰ급으로 상향 조정되어 내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또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한국적색목록 기준에 의한 멸종위기 야생식물종에 대한 평가에서 특정 생육지 내에 고립되어 분포하고 있어 위급(CR)종의 단계로 판정되는 등 보호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장 등, 2005). 김 (2007), 현 등(2010)에 의한 자생지 현황 등의 연구, 신과 유 (2010, 2012)에 의한 환경요인에 따른 생육 반응의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이후에도 여러 과제로 연구 중에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제주고사리삼의 생태를 보면 자생지의 입지환경은 물이 고였다가 마르는 독립된 소택지로 크기와 모양, 형태가 다양하며, 주위의 지면보다 약간 낮은 함몰구 또는 습지의 형태를 띠고 토양은 수분을 항시 보유하고 있다. 소택지내에서도 수관이 밀폐된 가장자리에 독특한 환경에 주로 군생하고 있다.

 

번식은 주로 뿌리줄기를 이용한 무성번식(영양생식)으로 개체수가 증가하는데 뿌리줄기가 1m 이상으로 길게 자라기도 한다. 이로 인하여 동일한 자생지 내에서 인접하고 있을 경우 동일한 개체일 가능성이 높아 개체 수 파악이 힘들다.

 

제주고사리삼의 형태는 키 높이 10~12cm 가량이며, 뿌리줄기가 땅속으로 기어들어 가며 영양번식을 한다. 땅속줄기는 흑갈색, 지름 5mm정도이고, 옆으로 기며, 1~2개의 잎이 나온다. 뿌리는 갈색이고, 지름 2mm정도이며 싹을 낸다. 엽병은 길이 8~12cm이고, 털이 없으며 녹색이다. 잎몸은 줄기에 수직으로 달리고, 연한 녹색 또는 녹색으로 3개로 갈라지며, 다시 2개로 갈라져 5~6개의 우편 조각으로 보이며, 약간 단단하고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다.

 

우편 자루는 길이 0.3~0.5mm로 짧다. 우편조각은 길이 3~4cm, 너비 6~10mm이다. 난상 피침형으로 끝이 둥글거나 약간 뾰족하다. 포자엽은 이삭처럼 줄기 끝과 영양엽의 밑 부분에서 1~3개가 나온다. 포자낭군은 포자엽 가장자리를 따라 2줄로 배열한다.

 

제주고사리삼의 형태와 생태를 볼 때 장마철에 싹이 돋아나기 시작해 이듬해 봄이 되기 전에 지상부가 시들어 말라서 없어지는 특성으로 동록성 여러해살이 남방계열 양치식물이다. 곶자왈 중에서도 저층 습지에서만 자라며, 일반적인 습지와는 다른 장마철에만 물이 고이고 이후에는 천천히 물이 빠지는 습지이다. 큰 비가 오면 며칠만 물이 고일 뿐 곧 물이 모두 빠지는 습지에 자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입지조건에서 자라는 제주고사리삼은 위기를 맞고 있다. 자생지를 포함한 주변 지역이 개발의 대상이 되면서 많은 자생지가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개발의 대상이 된 지역은 이식이라는 보호방안 등이 제시되지만 이것은 대안이 될 수 없다. 제주고사리삼이 자라는 환경이 아주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제주고사리삼을 지키고 보존하는 일은 제주 동부지역 곶자왈 주변 등의 서식이 예상되는 새로운 자생지 전수조사와 종에 대한 연구 및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자연유산 문화재로서의 천연기념물 지정이 시급하다. /강영식 제주자연의벗 공동대표

 

<참고자료>

- 이경미 등. 2012년. 멸종위기 식물 제주고사리삼의 입지와 식생구조의 특징에 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 현화자 등. 2010년.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의 환경 및 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문명옥. 2008년. 제주도의 양치식물상. 제주대학교 대학원. 멸종위기 야생생물 포털.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