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수)

  • 맑음동두천 -10.9℃
  • 맑음강릉 -5.9℃
  • 맑음서울 -9.2℃
  • 맑음대전 -6.8℃
  • 맑음대구 -4.8℃
  • 맑음울산 -4.5℃
  • 광주 -5.5℃
  • 맑음부산 -3.0℃
  • 흐림고창 -7.5℃
  • 제주 0.5℃
  • 맑음강화 -11.6℃
  • 흐림보은 -7.4℃
  • 구름많음금산 -6.4℃
  • 구름많음강진군 -5.0℃
  • 맑음경주시 -5.1℃
  • 맑음거제 -2.2℃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6월의 입춘굿' … 일제가 찍은 탐라국입춘굿 사진 12장
을사년 봄의 시작을 알리는 탐라국입춘굿이 입춘(2월 3일)을 하루 앞둔 2일 제주 원도심에 있는 제주목 관아 일원에서 개막했다. 한 해의 무사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주 입춘굿은 탐라국 시대부터 이어온 새봄 맞이 풍농굿이다. 하지만 입춘굿이 오랜 세월 명맥을 이어오다 일제의 문화 말살 정책으로 인해 영영 사라질 위기에 처했던 사실은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 옛 입춘굿 사진은 일제에 의해 연출된 것 국립중앙박물관은 1910년대 관덕정 앞마당에서 펼쳐진 입춘굿놀이 모습을 담은 유일한 사진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이들 사진 12장에는 많은 제주도민이 관덕정 앞에 모여 심방('무당'을 뜻하는 제주어)들이 펼치는 입춘굿놀이를 구경하는 모습이 담겼다. 탈을 쓴 심방들이 춤을 추고 사설을 읊으며 흥을 돋우고, 어른과 아이들이 그 주위를 둘러싸고 서서 진지하게 지켜보고 있다. 사진만 얼핏 보면 입춘을 맞아 입춘굿이 성대하게 펼쳐지는 모습으로 보인다. 제주 입춘굿은 탐라국의 왕이 풍년을 기원하며 몸소 농사를 짓고 농업을 장려하던 친경적전(親耕籍田) 의식에서 비롯된 새봄 맞이 풍농굿이다. 그러나 사진 이면에는 반전이 숨겨져 있다. 사진 왼쪽 상단에 세로로 쓰인 '大正三,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지난 연재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