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7 (토)

  • 흐림동두천 26.8℃
  • 흐림강릉 27.8℃
  • 구름많음서울 27.6℃
  • 구름많음대전 26.7℃
  • 구름많음대구 27.6℃
  • 구름조금울산 28.2℃
  • 구름많음광주 26.2℃
  • 흐림부산 27.8℃
  • 구름많음고창 27.4℃
  • 제주 27.9℃
  • 흐림강화 27.4℃
  • 흐림보은 24.9℃
  • 흐림금산 25.3℃
  • 구름많음강진군 27.6℃
  • 구름많음경주시 28.0℃
  • 구름많음거제 2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고순...귀머거리 시인으로 사후 정2품에 추서 돼

 귀머거리 시인...고순

 

 귀가 먹었다고 가슴마저 막혀 버리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세상의 시끄럽고 탁한 소음이 차단되어 맑은 정신의 경지에 다다를 수 있는 계기가 됐는지도 모른다. 우리의 가슴은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고, 머리로 알 수 없는 것을 이해할 수 있기에.

 

 심재는 고순(高淳)에 대해 「탐라인물고」에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고순의 자(字)는 희지(熙之) ․ 태진(太眞) ․ 진진(眞眞)이며 중추(中樞) 득중(得中)의 아들로 성실하고 믿음직스러우며 배우기를 좋아했다. 귀머거리 병이 있어 사람들이 땅에 그림을 그리고 글자를 써서 자기의 의사를 전달하였다. 무술년(성종 9년;1478)에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하였다. 조칙(詔勅:임금의 명령)에 응해 시정(時政)을 논하는 글을 올렸다가 ‘망령되다’[妄]는 이름을 얻었다. 혹자가 이를 고하니 공이 이를 기쁘게 여기며 망인[妄人]으로 자신의 호를 삼았다.

 

 공이 신영희<辛永禧;1442(세종 24)∼1511(중종 6): 김종직의 제자로 당대 학덕과 문장으로 뛰어남>를 처음 본 것은 여러 선비들 가운데에서였다. 여러 선비들이 서로 얘기를 나누는데 자신만만들 하였다. 공이 작은 종이에 절구 한 수를 써서 말하기를, ‘작은 누각에 봄바람 불어(小閣春風靜) / 담박한 맛 넘쳐 나지만(淡淡摠有餘) / 귀머거리 사람인지라(聾人無一味) / 머리 숙여 책이나 보네(垂首獨看書)’. 영희가 이를 기쁘게 여기며 그 시에 화답하여 말하기를, ‘세상의 소리는 괄괄(世聲聒溷濁) / 악취는 코에 넘치니(糞壤嗟鼻餘) / 그대가 부러웁그려(羨君勝房老) / 낮에도 책에 묻히니(晝隱千卷書)’. 이때부터 서로의 마음을 알아주는 벗이라 여겨 사귀었다.

 

 아버지의 상을 당해서는 묘 곁에서 거상(居喪)의 예를 지켰다. 하루는 시를 읊다 잠이 들었는데 돌아가신 아버지가 꿈속에서 시 한 수를 주면서 말하기를, ‘하얘진 머리털에 창백해진 얼굴로(華髮蒼顔減昔年) / 혼자서 쓸쓸이 묘자리를 지키는구나(孤身寂寂守山前) / 백골이라 생각과 감정 없다 하지 마라(莫言白骨無知感) / 네 읊는 소리 듣고 내 잠들지 못한다(聞汝吟詩我不眠)’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1454(단종 2)∼1492(성종 23): 단종 때의 문신으로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이 일찍이 그의 시집에 서문을 쓰면서 간략히 말하기를, ‘천지에 있어 하나의 기운[一氣]은 이르러 펴지고, 흩어져 돌아가는데, 그 실체는 하나일 뿐이다. 사람이 죽은 후에 그 기는 각각 자손의 몸에 나뉘어 있게 된다. 자손에게 움직임이 있으면 신명(神明)에게 느낌이 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비록 그렇지만 사람들은 반드시 마음이 발라져 오직 맑아져서야만 근심스러운 표정으로 다시 부모님을 뵙는 듯 하게 된다. 그러한 연후에야 부모님이 오르고 내리면서 언제나 곁에 있게 되는 것이다. 고희지(高熙之) 같은 자가 이른바 ‘오직 마음이 맑은 자[惟淸]’라고 할 것이다.’(원문, 심재집 2, 401쪽)

 


 

 이름자 밑에 심재 김석익은 ‘융희 4년(1910)에 특별히 (정2품인) 자헌대부(資憲大夫) ․ 규장각제학(奎章閣提學)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효의(孝義).’라 기술해 넣고 있다.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지만 벼슬에 나가지 않고 평생을 은거하여 살았다고 전하는 고순이 어째서 사후 400여년이나 지나 ‘특별히’ 정2품에 추증이 되었을까? 사림의 영수인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생들과 교류하였기에 가능하였을까? 한 가지 숙제로 남는다.

 

글=백종진/ 제주문화원 문화기획부장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관련기사

더보기
2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