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 탐방코스는 북촌 일대다.
너븐숭이 4.3 기념관에서 출발하여 서우봉 몬주기알/일제동굴진지ㅡ북촌환해장성ㅡ가릿당/등명대ㅡ북촌포구ㅡ사원이물ㅡ꿩동산ㅡ북촌선사주거유적지ㅡ포제단 ㅡ마당궤ㅡ당팟ㅡ북촌초ㅡ순이삼촌문학비ㅡ애기무덤 을 거쳐 4.3기념관으로 돌아오는 코스다.
북촌 4.3길 코스에서 낸시빌레는 동선상 동떨어져 있어 생략.
■북촌리
북촌리는 본동과 해동, 억수동 등 3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서쪽으로는 서우봉을 경계로 함덕리와 면하고 있으며 북촌 앞바다에는 제주비경 31선에 선정된 다려도가 아름답게 누워 있다.
■너븐숭이 4.3 기념관
4.3당시 북촌에서 300명이 넘는 무고한 주민들이 한 날에 어처구니 없게 토벌대에 희생당한 비극의 현장에 세워진 기념관이다.
4.3에 대한 정명이 아직도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이지만 그 어떤 이름으로도 고귀한 생명의 가치를 넘어설 수는 없다. 북촌에서의 학살사건은 토벌과정에서 일어난 최대의 비극이다. 이데올로기가 대립되던 시대적 상황이 왜 하필 우리 제주에 이토록 깊은 상처를 주었는지.
돌아가신 분들의 넋을 추모하면서 잠시 무거운 마음으로 길을 떠난다.
북촌리에서는 2016년말에 북촌리 일대에 4.3길 코스를 조성하였다. 4.3유적을 둘러보는 코스로 구성되어 있어 4.3을 되새기며 걸을 수 있다. 동광리와 의귀리에 이어 세번째로 조성된 4.3길이다.
■서우봉 일대 몬주기알
서우봉 하단 바닷가에 면한 절벽을 몬주기알이라 한다. 이 절벽에 있는 자연 동굴에는 4.3당시 북촌, 함덕 주민이 피신해 있기도 했다.
토벌이 최고조에 이르렀을때 선흘리 목시물굴에서 살아남은 여성과 아이들은 함덕 2연대 3대대 본부로 끌려와 수용됐다. 이들 중 일부인 여성 26명이 1948년 12월 26일 이곳 몬주기알에서 토벌대에 의해 비참하게 생을 마감했다.
■일제 동굴진지
제주 서우봉 일제 동굴진지는 오름 사면의 해안 절벽을 따라 23기가 있으며, 이 중 19기의 진지가 확인 가능한데,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있어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해안에 직접 면한 동굴진지도 있고, 산 중턱에 있는 진지들도 있다.
일제 말기 일제는 미국의 일본 본토 진출을 막기 위한 '결7호 작전'을 준비하고 제주 곳곳에 이러한 진지를 구축하였다. 만일 원자폭탄에 의한 일본의 항복이 아니었다면, 우리 제주는 오키나와처럼 수십만이 전쟁통에 희생되는 비극이 생겨났을지도 모른다. 일제 강점기때의 참혹한 수탈과 제주도내 곳곳에 이러한 진지를 구축하기 위한 강제동원에 고통 받았던 우리 제주인의 아픔의 역사를 잊으면 안될 것이다.
흔히 역사는 반복된다고 한다. 그러나 다시는 이러한 고통의 역사를 반복해서는 안된다. 또다른 갈등 상황이 빚어지고 있는 지금 우리가 해야할 일이 무엇인지 깊이 반성하고 깨달아야 할 때이다.
■검섯개물
(검섯개물은 북촌서길 북촌리 해동이란 표석이 세워진 검섯개에 있는 산물이다. 서모오름 동쪽 동네인 ‘해동(옛 이름 해뎅이)’의 식수였다. 어로시설인 검섯개는 해수면 아래 바다 바닥이 용암으로 덮여 있어 검게 보이는 서쪽에 있는 포구란 의미이다. 이 산물도 두 개의 원형 시멘트 식수통을 갖고 있으며 여자 전용으로 사용했다.)-출처 제주의 소리 고병련
조천등지의 산물과 달리 북촌의 산물터에는 두개의 원형 우물이 배치되어 있는데 여자전용의 경우이다. 원형벽이 높게 쳐진 곳은 아마도 밀물때에도 바닷물이 들어가지 않도록하는 의도인것 같다. 조형적인 면에서 꽤 조화가 있으면서 미려하다.
썰물때라서 그런지 수량이 빈약하다. 주변 환경의 변화가 수량에 영향을 미친듯 하여 아쉽다.
■북촌 환해장성
북촌의 환해장성은 약 250미터 정도 남아 있으나 많이 훼손되어 원형으로 보기엔 빈약하다. 그러나 아직도 장성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이 오히려 고맙다. 제주도 기념물 49-5호로 지정되어 있다.
인터넷신문 '제주의 소리'에 의하면 온평, 한동, 행원, 동복, 북촌, 애월, 삼양, 별도, 곤을동, 신산 등 10곳의 환해장성은 제주도 기념물로 지정돼 보호받고 있지만, 태흥 등 기타 지역의 환해장성은 제도적 보호장치 없이 방치되고 있다고 한다. 지금이라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는 이유로 방치되어 훼손되고 사라져가고 있는 환해장성을 관리하고 보존하는 대책을 세워야한다.
가릿당 가는 길 중간에 35도가 넘는 여름더위에 지친 나들이객에게 시원한 1000원짜리 음료를 제공한 오아시스 같은 곳. 장사를 떠나서 주인장의 센스와 배려가 고맙다.
북촌별장이 건물규모나 안내판으로 봐서 숙박시설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입구에 세워져 있는 시비의 싯귀가 마음에 와 닿는다.
그 꽃
- 고 은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
한창 미투(me too)로 문제가 되어 구설수에 오른 노시인의 작품이지만 작가의 도덕성 여부를 떠나서 그 내용만을 음미해 본다. 어느덧 인생의 시간이 내리막을 타고 있는 나이가 되었음을 느끼면서 그동안 못봤던 아니 인지하지 못했던 꽃들을 많이 봐야겠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제주의 역사 나들이도 그동안 못 봤던 꽃중의 하나를 보는 여정임을 확신하면서.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지 들어가서 물어보고 싶은 강한 호기심이 생기는 곳이다.
마침 일요일이라 들어가진 못했지만 급한 생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고마왔다. 파란 하늘과 바다를 배경으로 흰색페인트를 칠한 건물이 소박하면서도 잘 어울린다.(본관은 못 찍고 화장실만 한컷)
위 건물 마당 한켠 바다쪽에 있는 수돗가가 눈에 띈다. 요즘은 저런 수돗가를 보기가 힘든데 우리 학창시절만 해도 저런 수돗가에 줄서서 입대고 바로 마시고 씻고 했었다. 그냥 '삼다수'였다. (수도꼭지엔 수많은 잇빨 자국이 있었다.)
학급 당번이 찌그러진 주전자에 물을 한가득 받아오고, 마대걸레도 빨고했던 그 수돗가다.
요즘은 수돗물 대신 생수를 사서 마시지만 당시엔 물을 사서 마신다는건 생각지도 못했다. 삶이 물질적으로 풍요해진건 맞지만 더 행복해진 건지는 글쎄다.
동네마나 유행처럼 번지는 벽화그리기 바람이 개인적으로 썩 유쾌하진 않지만 이곳의 페인트벽화는 낙서처럼 보이지 않고 제법 풍광과 어울린다. 다만 그려진 물고기떼가 민물에사는 잉어떼처럼 느껴지는건 나만의 오해인가. 방어떼를 그렸을거라고 애써 우겨본다.
모진 해풍에도 수많은 세월을 견뎠을 작은 집이 눈에 띈다. 처음엔 초가를 이고 있었을 이집에서 제주의 삶과 정경이 오롯이 느껴진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김승욱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