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필화는 비단에 채색으로 그리는 중국화의 화법이다. 우아하고 화려한 것이 공필화의 특성이기도 하다. 중국과 인접한 우리나라는 채색화는 도화서 화원이나, 서민의 민화에 발달했고 문인화는 양반 사대부가 즐겨 그렸다.
제주는 아름다운 자연의 섬으로, 공기가 맑고 숲의 향기가 감미로우며, 비단결 같은 바다가 푸르게 열려 있어서 그 곳에 가면 누구라도 지친 일상의 병을 자연적으로 치유할 수 있다. 따라서 그것이 제주도가 치유의 정원이 되는 까닭이고, 그 그림이 마음의 위안이 되는 이유가 아닐까.
마왕퇴, 고개지에게서 비롯되는 공필화
공필화란 역사적으로 볼 때 그 기원은 동기창이 북종화라는 장르로 분류하기 훨씬 이전으로 올라간다. 공필화라는 말이 주는 의미에서 알 수 있듯이 공필호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매우 자세하고 정밀하게 그리는 회화 기법으로 외형묘사에 치중하여 사실적으로 그리기 위해 세필(細筆)가 화려한 색채를 공들여 사용한다.
화원화가(畫員畫家)나 직업화가들이 그리는 그림으로 사의(寫意)를 중시하는 문인화와는 상대적 개념이기도 하다. 다시말해서 공필화는 채색 중심의 화법인 북종화로 정립되면서 더욱 정교하고 섬세한 경치와 사물을 표현하는 중국화의 표현방법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도화서 화원들의 기록화나 초상화에서 볼 수 있다.
중국 채색화의 전통은 이미 서한(西漢) 시대 마왕퇴 무덤에서 출토된 백화(帛畫)에서 보이는데 미왕퇴 벡화는 말 그대로 비단에 그려진 화려한 채색화이다. 천상세계의 풍경, 무덤주인의 승천, 장례식장의 모습, 지하세계의 풍경 등 T자형 명정(銘旌)에 4가지 장면으로 그려졌다(趙力·院晶京.2020).
또 중국 불화의 시조로 여기는 조불홍(趙弗興), 동진(東晉)의 화가 고개지(高愷之,313~406, 또는 348~409)를 공필화의 초기 화가로 유추할 수 있다. 특히 조불홍의 ‘제자의 제자’에 해당하는 고개지는 화가 이름이 정확히 전하는 작품들을 남겼는데 조식(曺植)과 견씨(甄氏) 부인의 사랑을 그린 <낙신부도(洛神賦圖)>, 여성에게 덕행을 권장하는 <여사잠도(女士箴圖)>와 <열녀인지도(列女仁智圖)> 등 빼어난 채색 인물화가 그것이다.
고개지는 화가이자 미술이론가로서, 『화론(畵論)』, 『위지승류화찬(魏晉勝流畫贊)』, 『화운대산기(畵雲臺山記)』 등을 저술하여 바깥 사물의 형상을 빌려 내면의 정신을 표현한다는 ‘이형사신(以形寫神)’, 그리고 생각을 옮겨서 오묘함을 얻는다는 ‘천상묘득(遷想妙得)’ 이라는 회화이론을 내놓아 중국 회화의 기틀을 다져놓았으며, 공필화의 화가이자 문인화의 시조로도 추앙되고 있다. 이는 형사(形似:사실성)와 정신(情神:사의성)을 하나의 몸체로 보는 그의 관점 때문일 것이다.
고개지의 생각대로 “인물화는 정신의 오묘함을 담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의 눈(阿堵)”에 있다고 하여, 한나라, 위나라의 고졸한 기풍에 반대하면서 정신을 전달하는 것을 중요시 여겨 눈동자를 그리는 일에 힘을 쏟았다(任道斌, 2022). ‘눈은 마음의 창(窓’)이라거나 ‘눈의 정기(精氣)’라는 표현이 틀린 말이 아닌 것이다. 시대를 뛰어넘어 프랑스 조각가 로댕이 무엇보다도 눈의 표현을 최고로 중요시 여긴 시각과 일치한다.
공필화는 동양화의 두 갈래의 하나인 남종화에 대비되는 북종화 화풍의 양식에서 그 회화의 발전 과정을 말할 수가 있다.
동기창(董其昌, 1555~1636)은 명나라 말기의 문인이자 화가로서 그의 화론서 『화안(畵眼)』에는 남·북종화의 유래가 나온다.
“선가(禪家)에 남종(南宗)과 북종(北宗) 두 종파가 있으니, 당나라 때 처음 나뉘어졌는데 그 사람 출신이 남북이라는 것은 아니다. 북종은 이사훈(李思訓) 부자(父子, 당대의 화가)의 착색산수(着色山水:彩色山水)에서 전해져 송나라 조간(趙幹:오대 남당의 화가)·조백구(趙伯駒:남송의 화가)·조백숙(趙伯驌:남송의 화가)이 되었고, 마원(馬遠:남송의 화가)·하규(夏珪:남송의 화가)에 이르렀다. 남종은 왕마힐(王摩詰:王維:당대의 화가)이 처음으로 선담(渲淡:淡彩)을 사용하여 구연(拘硏)의 법을 일변(一變:한가지 다른 기법을 확립)하였는데 그것이 전해져 장조(張璪,당대 말기의 화가)·형호(荊浩:오대의 화가)·관동(關同:오대의 화가)·동원(東源:오대의 화가)·거연(巨然:오대 북송초의 화가)·곽충서(오대 북송초의 화가)·미가의 부자(米家父子:아버지 米芾(북송대의 화가), 아들 米友仁(남송대의 화가)의 화법에 이르렀고, 이것이 육조(六祖:보리달마. 혜가, 승찬, 도신, 홍인, 혜능) 이후 마구(馬駒)·운문(雲門)·임제(臨濟) 등의 자손이 성하고 북종이 쇠미해진 것과 마찬가지이다.”
화론이란 하나의 양식적 표현 방식이자 창작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화론에는 시대의 상황과 시대정신의 주제와 형식이 따른다. 즉 화론은 그림의 방향, 의미, 화가의 자연관, 사회상, 아비투스 등 세계관을 표현하는 총체적 방식이다. 그래서 화론은 그 시작이 있으나 시대마다 계승되더라도 변형되고 해석이 달라진다. 어제 사람의 뜻이 오늘 사람의 의미가 다름을 보여주는 것이다. 양식이 시대마다 다르다는 것은 화론이 어떻게 당대에 적응하고 진보하느냐에 따라 소멸되거나 확장되기도 한다.
이미선과 공필화와의 만남
중국 심양의 노신미술대학 쑨언룽 교수는 1996년 당시 유학생 신분이었던 이미선을 “공필(工筆) 인물과 화조화 방면에 재질(才質)이 뛰어났다‘라고 회고하면서 중국화를 그리는데 있어 중요한 세 가지 요소를 당부하였다.
첫째 전통이고, 둘째 삶의 체험이고, 셋째가 작가의 수양(修養)이 그것이다. 창작을 하는 화가에게 있어 지녀야할 이 세 가지 요소는 비단 중국화만의 국한 된 것이 아닐 것이다. 전통은 저마다 자신의 속한 나라의 문화적인 패턴으로 이어지기 때문이고, 삶의 체험은 실존하는 사회적 장소에서의 자신의 삶을 말하며, 수양은 작가라면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최고의 테크닉을 익혀야 하기 때문에 이 세 가지 요소 모두가 중첩되는 중요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중국과 한국은 서양에 대비되는 동양이라는 공간의 관계틀 속에서 그 문화적 공감대를 같이해온 지 무척 오래됐고, 현재에도 여전히 이웃의 문화적인 소통관계가 유지되는 정서적 공동체(emotional community)로 생각되고 있다. 이미 두 나라는 대륙과 한반도라는 지정학적인 관계로 서로 간 곡절도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수천 년 역사를 같이 이어오면서 우리의 의식에서는 중국을 멀고도 가까운 나라로 여기고 있다.
이미선이 낯설음을 마다하고 중국행을 택한 것은 오로지 새로운 그림을 찾아 나선 때문이었다. 그에게 새로운 그림이란 단연 중국화였고 중국화를 바르게 알아야 동양의 정신과 한국화의 문화적인 배경도 바로 보이기 때문이다. 정통을 알아야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는 나름의 의미를 생각한 것이다. 그래서 그가 택한 것이 중국 채색화의 기법인 공필화인데 공필화(工筆畵)는 결이 고운 비단에 매우 정교하게 그리는 중국 채색화의 한 분야로 그 품격이 높으면서도 우아한 것이 특징이다.
앞서 말했지만 중국미술사에서 백화(帛畵), 즉 비단 그림은 이미 2500년 전 전국시대(戰國時代) 초(楚) 나라 때부터 나타나고 있으며 서한(西漢), 동진(東晉)에 이르러 고개지(顧慨之)의 비단 그림이 오늘날까지 전해오고 있어 공필화의 깊은 연원을 가늠할 수 있게 해주었다. 〈여사잠도(女史箴圖〉는 군주에게 충성하는 궁중 여인들의 덕행을 널리 알리는 세필(細筆)의 그림으로, 비단 그림이 고고하고 기품이 있는 궁중화의 중요한 분야가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A.D 6세기 서위시대 돈황 막고굴 벽화 <오백강도성불도>, 당나라 장희태자(章懷太子) 이현(李賢, 645~684)의 묘도 벽화 <객사도>, 송나라 염입본(閻立本. ?~673)의 <보련도(步련輦圖)>, <역대제왕도(歷代帝王圖)>, 중당시기 장훤(張萱, 712~781)의 <도련도(搗練圖)>, 원대(元代)의 전진교(全眞敎)의 중심지였던 영락궁 삼청전(三淸殿)의 <조원도(朝元圖)> 등의 벽화가 공필화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회화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조원도> 중의 신선 행렬은 여덟 명의 주요 신선을 중심으로 각종 인물 280명을 그렸다. 다양한 인물의 형상은 그 규모가 매우 크게 그려졌으며, 금분으로 장식하여 원나라 벽화의 웅장한 풍모를 보여주고 있다. 이 삼청전의 벽화는 화공인 마군상(馬君祥) 등이 그렸다고 한다.
특히 이미선은 이 영락궁의 벽화에 감화되어 공필화를 수련하고자 2m 이상 크기의 도교 신선 그림을 실제로 세 점을 1년 가까이 모사하여, 화려한 채색의 깊이와 선묘의 유려함을 익힐 수 있었다.
미술의 기본기는 누가 뭐래도 손의 자유로운 표현에 있다. 물론 오늘날에는 머리로만 그리는 개념적인 작업도 성행하지만, 그 바탕에는 형태와 색채, 선묘를 통해 내면적 정신이 살아나야 하는 조형 정신이 녹아있어야 한다. 대상없는 생각만으로 새로움을 찾을 수 없고, 새로움과 상상력은 삶의 경험과 세계에 존재하는 자연,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유추해서 만들어진 변형된 일상의 사물들을 통해서 다시 재발견되는 것이다. 창작은 넓게 보면 재발견이며 해석이고, 재구성이다. 어떤 때는 은유와 반전과 상징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김유정은?
= 최남단 제주 모슬포 출생이다. 제주대 미술교육과를 나와 부산대에서 예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술평론가(한국미술평론가협회), 제주문화연구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제주의 무신도(2000)』, 『아름다운 제주 석상 동자석(2003)』, 『제주의 무덤(2007)』, 『제주 풍토와 무덤』, 『제주의 돌문화(2012)』, 『제주의 산담(2015)』, 『제주 돌담(2015)』. 『제주도 해양문화읽기(2017)』, 『제주도 동자석 연구(2020)』, 『제주도 산담연구(2021)』, 『제주도 풍토와 문화(2022)』, 『제주 돌담의 구조와 형태·미학(2022)』 등이 있다.